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미치는 위험을 비교해 융통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
일부
로봇 전문가는 윤리적 소프트웨어나 로봇윤리 로드맵(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목표 자체가 인간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서쪽 샤크 만에서 ‘남방큰돌고래’떼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것을 발견했어요.
일부
돌고래가 입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에 부딪히거나 뾰족한 조개껍데기가 파도에 날아와도 다치지 않기 위해서지요.도구를 사용하다니 정말 영리하구나! 사람과 닮은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걷는 것이 한계다.#3 어릴 때 소아마비를 앓았던 건강해 씨. 건강해 씨는 발목의 골격이
일부
뒤틀려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아킬레스건의 길이를 연장해 발목을 인위적으로 굽힐 수 있도록 외과 수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위험부담이 커서 환자가 수술을 망설이고 있다.모션캡처,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약하게나마 태양빛을 받기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태양 광선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고 그
일부
가 달에 닿는다. 이 중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부분 산란되지만, 파장이 긴 붉은 빛은 살아남아 달까지 도달한다. 결국 이 불그스름한 태양빛이 달에서 반사돼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물드는 것이다.이 날은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1 식물공장에서 만든 에볼라 치료제이번 에볼라 사태는 바이오 분야에서 ‘식물공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의 작은 ... 넣어 대량생산한다. B세포 중
일부
는 기억세포가 돼 에볼라 감염에 대비한다. T세포 중
일부
도 기억세포가 된다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선수들은 연습에서 반응시간이 0.1초보다 빨라 실전에서는
일부
러 반응속도를 늦추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당분간 0.1초라는 기준은 변하지 않을 테니 재빠르되 너무 급하지 않게 뛰어나와야 한다.우리나라 선수의 출발 속도는 어떨까.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분비한다.● 실제 가장 많은 사망자가 과다출혈로 인한 저혈압 및 쇼크사로 사망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탈수증상으로 사망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석촌역과 유사하게 충적층이 두터운 지역이지만 아직까지 문제의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일부
에서는 지하터널을 팔 때 처음부터 잘못된 위치를 고르는 바람에 일이 커졌다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 다. 이수곤 교수는 “9호선 지하터널 공사를 할 때 자갈과 모래로 쌓인 충적층과 단단한 암석 중 한 곳만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다려야 한다.3 에볼라 치료제 없다우리나라에서 에볼라에 걸리면 고칠 방법이 없다.
일부
국가에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수량이 부족해 구하기도 어렵다. 한 가지 의문이 든다. 왜 우리나라 연구진들은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지 않는 걸까. 역시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간단하지만 초기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고출력 레이저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레이저 대신 전자빔을 쏴서 가속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봤다. 이 방식은 외부에서 고에너지 전자빔을 보내줘야 하는 문제가 있고, 보내주는 전자빔에 비해 고작 2∼3배 정도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