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길어 올렸다는 것. 체인에 물통을 연속적으로 매달아 상부로 물을 올린 다음 물탱크에
저장
했다가 필요한 곳에 물을 흘려주거나 물뿌리개를 이용해 물을 공급했다는 매우 단순한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디오도르와 스트라본이 기록한 것으로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한 수력기계 방식이다.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temporary internet files)에 있는 데이터도 자주 삭제해주는 것이 좋다. 여기에도 개인 정보가
저장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용 컴퓨터에서 작업을 했을 경우에는 꼭 자리에서 일어날 때 윈도 쿠기 폴더의 내용을 모두 지우고, 임시인터넷파일 폴더의 데이터로 꼭 지우는 것이 자신의 정보를 지키는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밝혔다.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용량이 작은 디스크 때문에 데이터를 제대로 옮기거나
저장
하지 못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멀티미디어가 일반화된 요즘, 데이터에 비해 디스크 용량이 작기 때문이다. 현재 플로피디스크보다 용량이 큰 집(ZIP)디스크 경우 흔히 1백M(${10}^{6}$)byte가 ... ...
쌍방향 장난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환경이나 사람 등이 제한된다. 음성 합성은 말을 컴퓨터에서 만들어주는 기능으로 미리
저장
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영상 처리·인식 기술은 장난감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해 원하는 목표물(사람 또는 물건)이 어디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사람이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혼합된 구조다. 특히 두께가 0.1mm정도로 매우 얇으면서도 자체 중량의 30배 가까이
저장
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튼튼한 모습이다.벌집구조의 튼튼함을 알아보기 위해 텔레비전의 한 프로그램에서는 벌집구조로 만든 종이다리 위로 트럭을 지나가도록 하는 실험을 했다.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만든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신호전달체계가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그는 기억이 뇌에
저장
되는 과정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단순한 신경계를 가지고 있는 바다달팽이를 이용했다. 바다달팽이에 자극을 주면 신호를 전달하는 뉴런의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시로토닌이 분비된다. 시로토닌은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장시간방식이 표준방식에 비해 음질이 약간 떨어지는 대신 더 긴 내용의 메모를
저장
할 수 있다. 참고로 일반 음성용이 아니라 라이브 콘서트와 같은 공연 내용을 녹음하고자 한다면, CD와 같은 음질로 녹음되는 디지털 방식의 MD 레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성공한 사람에게 빠지지 않는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대부분이다. 특히 그림을 수평 바위 면에 새긴 경북 안동 수곡리 암각화 유적은 물을
저장
하기 위한 바위구덩이가 깊이 파여 있고 높은 장대를 세우기 위한 바위구멍들이 암각화가 새겨진 바위면 둘레에 있어서 당시 의식이 어떻게 치러졌는지를 추측하게 해준다.탁본으로는 내용 파악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컴퓨터프로세서의 출현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킬비 연구원의 업적은 정보 처리와
저장
량을 비약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만든 견인차인 셈이다.수상자들은 해당 분야에서 수상에 걸맞는 지대한 공헌을 한 과학자임은 틀림없다. 또한 다른 대부분의 역대 수상자들이 그랬듯 자신이 이미 30-40여년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공이든지 모양이 찌그러지게 된다. 공의 모양이 변하는 순간 일부는 공의 탄성에너지로
저장
될 수 있지만 일부는 유실된다. 이렇게 충돌과정에서 에너지의 일부가 사라지는 경우를 ‘비탄성충돌’이라 한다.공을 일정한 높이에서 가만히 떨어뜨리면 공이 다시 튀어오르는데, 튀어오른 높이는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