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데 걸리는 시간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즉 세슘원자시계를 이용해 측정한 원자시와
천문
시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윤초를 넣은 것이다.1초밖에 안되는 윤초를 무시할 정도로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통신이나 항해, 항공, 금융시스템에서는 엄청나게 긴 시간이다. 1초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어린이과학동아’가 마련한‘돌아온 꿈돌이 축제’가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8일까지 엑스포 과학공원 옆 꿈돌이랜드에서 열렸습니다. 이 행사 덕분에 잊혀졌던 꿈돌이는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칠월칠석날을 즈음해 꿈돌이별(백조자리 알비레오) 축제가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것이다우주공간에서 천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1파섹은 326광년으로 1AU(
천문
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의 20만 6천배이며, 309×${10}^{13}$㎞의 길이다 파섹의 물리학적인 정의는 연주시차(年周視差)가 1″(초)가 되는 거리를 말한다 파섹이란 말의 어원은 시차(parallax)와 초(second)의 ... ...
2005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46)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사회문화 부문에는 김희준(58) 서울대 화학부 교수, 박석재(48)
천문
연구원장이 각각 선정됐다.이번에 선정된 과학기술인들은 동아일보와 과학동아를 통해 연구활동과 업적을 비롯해 성장과정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공개하고,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인에 대해 긍정적인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윌슨산
천문
대로 갔고 1953년 죽기 전까지 그곳에서 연구했다. 재 현 실 험허블의 법칙은
천문
학사에 한 획을 그을 만큼 중요한 발견이었다. 하지만 허블도 100% 정확하지는 않았다. 허블이 처음에 얻은 허블상수 500km/s/Mpc은 그가 거리를 잘못 추정해서 얻은 오차가 매우 큰 값이었다. 물론 이 때문에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난 1993년 대전에서 엑스포라는 세계적 행사가 열렸습니다. 그 행사는 우리에게 국가에 대한 자긍심과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준 뜻 깊은 행사였습니다. 엑스포에 참여한 사람들은 모두 마스코트 꿈돌이를 귀여워했습니다.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 꿈돌이는 잊혀지고 말았습니다. ‘어린이과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소자가 만들어진다(1) 지구상에서 두 극을 지나는 커다란 원 영국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
대를 지나는 원(경선)을 본초(本初)자오선이라 하고 이것을 0˚로 하여 동경 180˚, 서경 180˚로 나눈다 (2) 하늘을 큰 공으로 생각했을 때 이 천구(天球)상에서 천정(天頂)과 천저(天底)를 연결하는 커다란 원 즉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에너지원은 영화에서는 ‘우주폭풍’(cosmic strom)의 강한 방사선으로 묘사된다. 한국
천문
연구원 문홍규 연구원은 “우주에서는 강력한 에너지나 입자의 분출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우주폭풍으로 표현한 것 같다”고 밝혔다. 태양에서도 플레어 폭발이나 흑점 때문에 우주폭풍이 나오고 블랙홀 ... ...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드는 생각 하나. 우주에서 가장 더운 곳은 얼마나 뜨거울까. 2003년 4월 유럽남반구
천문
대(ESO)에서 공개한 사진을 보라. 반쯤 잘라 가운데 씨앗을 빼낸 복숭아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곳에 바로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별 중 하나가 숨어 있다. AB7이라 불리는 이 별의 표면온도는 무려 12만℃가 넘는다.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위상이 같은 곳에서는 상태(시각·장소)가 같게 된다 반면
천문
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이란, 태양광을 반사하여 빛나는 행성이나 달의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성과 지구를 연결한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