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607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압·심전도 버튼만 누르면 측정 '뚝딱'…갤워치3 써보니
연합뉴스
l
2020.08.09
측정 버튼을 누르고 워치 베젤에 손가락을 갖다 댔더니 곧 '이 ECG 데이터에서 심방세동의
신호
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알림이 떴다. 혈중 산소 포화도 측정 버튼을 누르자 처음에는 88%가 나와 놀랐는데 워치가 권장하는 대로 다시 심장에 가깝게 손을 갖다 대는 방식으로 자세를 바로잡고 ... ...
'힉스 입자'의 뮤온 직접 붕괴 실험으로 첫 확인...한국CMS팀 큰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붕괴 비율이 낮다. CERN에 따르면 힉스가 뮤온 한 쌍으로 붕괴하는 확률은 5000분의 1이다.
신호
가 적으면 다른 경로로 만들어진 ‘잡음’ 뮤온 쌍이 많아 검출이 어렵다. CMS의 뮤온 검출기 모습이다. CERN 제공 이렇게 어려운 뮤온 쌍 붕괴 과정을 측정하게 된 데에는 한국CMS 연구팀이 큰 활약을 했다. ... ...
후추에서 특정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RUVBL1/2-TTT를 억제하더라도 다른 경로로 다시 해당 기능을 회복할 가능성은 없나. -맞다.
신호
전달체계가 복잡하고, 특히 암세포들 중에는 특이한 형질을 가지고 있는 소수가 있기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변종이 나중에 나올 확률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모든 항암 표적이나 항암제처럼 RUVBL1/2-TTT ... ...
'디스플레이를 안테나로 쓴다' 홍원빈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했다. 이 기술은 2016년 삼성전자 스마트워치에 적용해 무선통신 전파 수신감도와 송신
신호
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에는 LG전자 스마트폰에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안테나를 넣어 시연하는 등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음도 보였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자기학에 무선통신이론과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이엘케이-닥터넷, 일본 진출 협력관계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가졌다고 4일 밝혔다. 간섬유화스캔은 우측 옆구리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사해 반사
신호
로 간의 탄성도를 측정하는 장비다. 만성 간질환에서 간 섬유화를 조기에 평가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하다. ■마크로젠과 디엔에이링크, 테라젠바이오는 지난달 31일 서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게 꽤 효과가 있다. 바로 ‘빛 치료(light therapy)’다. 빛 치료 역시 감광신경절세포가 뇌에
신호
를 보내 효과가 나타난 결과일 가능성이 크고 그렇다면 이 세포가 민감한 파란빛 영역이 중요할 것이다. 지난 2009년 국제학술지 ‘우울 불안’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실제 파란빛이 같은 조도의 ... ...
"코로나19 완치 후 청력 저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0.08.04
[출처: 서울아산병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회복된 후 청력 저하 등 청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맨체스터 ...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청각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최
신호
에 발표됐다. ... ...
전북대 김기현 교수, 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소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08.03
적용한 기술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로, 내부 이온들이 입력
신호
에 따라 구멍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마치 뇌 신경세포(뉴런)를 연결하는 시냅스와 같이 데이터 저장 효과를 유발한다. 또 이온 분극과 확산 현상을 이용해 전자소자의 하드웨어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 ...
'콜록'소리만 들어도 안다. 이 방 어디에 코로나19 환자가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보고 특징을 파악해내는 사용하는 알고리즘인 합성곱신경망(CNN)에 1초 길이의 음향
신호
를 들려주고 특징을 알아내 기침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반복적으로 학습시켰다. 구글과 유튜브에서 연구용으로 쓰이는 공개 음성데이터 세트 ‘오디오세트’ 등을 활용해 배경 소음 데이터를 만들고 기침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척추뼈 안에 있는 신경조직인 척수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다. 뇌에서 보낸 신경
신호
가 팔다리로 전달되지 못해 하반신이 마비된다. 과학계에서는 이렇게 죽은 신경세포를 되살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정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