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업일
평일
뉴스
"
작업일
"(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연구원, 방폐물 분석 오류로 10억 원 과징금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이달 9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제106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열렸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방사성 폐기물의 방사능 농도를 제대로 계산하지 않고 경주 방폐장(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으로 2000드럼이 넘는 방폐물을 보낸 데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0억 ... ...
세계 학생들 모여 미래식탁 만드는 게임 개발 실력 겨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포스텍은 게임개발을 통해 창의력과 상상력을 겨루는 글로벌 게임잼 경진대회를 열었다. 포스텍 제공 한국과 네덜란드, 중국 학생들이 모여 신선한 상상력으로 미래 식탁을 만드는 게임 개발 경진대회가 열린다. 포스텍은 이달 7일부터 9일까지 경북 포항 포스텍 본원에서 게임개발을 통해 창의 ... ...
[의학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LG전자,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협력 위한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 분당서울대병원과 LG전자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공동개발 및 협력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디지털 헬스케어란 기존 의료기술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새로운 디지털 의료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번 협약을 통 ... ...
수백 년 간 지구에 쌓인 '인류문명이 할퀸 흔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영국 레스터대 연구팀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크로포드 호수 밑바닥에서 퇴적물 코어를 뽑아 인류세의 흔적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 크로포드 호수는 깊이가 22m로 깊고 진흙층이 두터워 인간 활동으로 인한 결과물이 1000년 동안 고스란히 쌓여 있다. 팀 패터슨 제공. 전 세계 지질학자들이 ... ...
그래핀과 레이저로 생체 샘플 질량분석 간편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그래핀 기판과 연속발진 레이저를 적용한 고해상도 질량분석 이미징 기술 모식도.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별도 실험환경을 조성하지 않고도 마이크로미터의 고해상도 질량 분석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밀의료 및 의료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과학동아
l
2019.08.03
한국인 최초 월트디즈니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수석 애니매이터로 일했던 김상진 감독을 만났다. 남윤중/AZA 제공 미국 영화제작사 디즈니의 흥행작인 '라푼젤', '겨울왕국', '모아나', '빅 히어로'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영화 속 매력적인 캐릭터가 한국인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는 사실이다. ... ...
기정원 최철안 원장 "중소기업 스마트공장화 지원에 최선"
연합뉴스
l
2019.08.01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최철안 원장은 31일 "부설기관인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효율적으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 원장은 이날 여의도에서 오찬 간담회를 열고 "추진단은 스마트공장과 관련해 ... ...
폐원자로 속 위험한 내부찌꺼기 살펴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정묵 책임연구원이 라만분광기를 이용해 산화물 샘플의 구조를 확인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일본 정부가 최근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방사성 누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이어 제2원자력발전소의 폐로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미국 윌슨 산 천문대의 100인치 후커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바라보는 포즈를 취한 에드윈 허블. 허블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구경이 큰 이 망원경으로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1924년)과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1929년)을 발견해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가 됐다. 만약 알베르트 아인슈타 ... ...
병원 서비스 환자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29일 오전11시 대학본부 6층 접견실에서 KIDP과 ‘의료 서비스 디자인 연구개발(R&D) 사업 협력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NIST 제공 태어나서 처음으로 병원 응급실을 찾은 환자에게 안내서를 제공한다. 안내서는 응급실 내 진료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알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