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일반
총체
보통
보편
모든
전부
뉴스
"
전반
"(으)로 총 1,9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받았다. 살람으로서는 제자의 제자 덕을 좀 본 셈이다. 구럴닉은 물리학
전반
에 대해 관심이 많아 강력을 설명하는 양자색역학과 복잡계를 설명하는 카오스이론, 입자물리학의 최전선인 끈이론 연구도 진행했다. 그럼에도 힉스 메커니즘에 대한 자신의 기여가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데 대해서는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천문학 등 모든 과학을 총동원한다. 또 생명 현상의 단편을 소개하기보다 생명 현상
전반
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생명과학은 이렇게 배우고 가르쳐야 한다’를 알게 해줄 책과 함께 세상, 우주, 인간 그리고 나를 이해하기 위한 생물학 산책을 떠나보자. ◆인공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틀리지 않고 위와 같이 대답했다.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영화 시나리오 작업
전반
에 참여하고 영화 속 과학적인 내용들을 그가 감수한 만큼 ‘틀릴 리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쯤 되니 천체물리학자들에게 킵 손이란 어떤 존재인지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손 교수와 함께 연구한 경험이 ... ...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를 설립했다. 세종대 유성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총괄책임자로서 빅데이터센터 업무
전반
을 이끌어가고 있다. 빅데이터센터의 목표는 대용량 처리 연구 인프라 구축,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산업 및 데이터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교육 ... ...
복수정답 생명과학Ⅱ 만점자 64명뿐
동아일보
l
2014.12.03
표준점수가 워낙 높기 때문에 일단 생명과학Ⅱ를 선택해 원점수를 잘 받은 수험생들은
전반
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정답인 ④번 답지를 선택했던 수험생들은 표준점수가 떨어져 불리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임성호 하늘교육 대표는 “공교롭게 생명과학Ⅱ의 난도는 가장 ... ...
동북아發 질소 오염물질이 북태평양 교란
2014.11.28
한국 등 동북아시아에서 발생한 질소 오염물질이 대기를 통해 날아가 북태평양 해양
전반
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포스텍 제공 화석연료나 비료를 사용할 때 나오는 질소 오염물질이 대기를 거쳐 북태평양 전 해역에 유입돼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향상됐다. 두 번째 IT 혁명은 1980∼1990년대 인터넷의 부상과 함께했다. 개별 기업 활동
전반
에 걸친 조직화와 통합이 일어나면서 기업의 국제화 전략과 함께 전 세계에 분산된 생산 시스템을 통합하는 일까지 가능해졌다. IT가 주도하는 제3의 물결은 현재 진행 중이다. 과거 두 번의 변화 물결이 생산 ... ...
[뉴스분석]수험생이 무슨 죄… 1만명 등급조정 대란
동아일보
l
2014.11.25
꾸려 수능 대책을 만들겠다고 했지만 이런 방안이 제대로 작동할지는 미지수다. 수능의
전반
적인 구조뿐만 아니라 출제와 검토 과정 같은 미시적 문제를 따지기에는 교육계 베테랑도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많기 때문이다. 수능 오류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는 EBS 70% 연계 정책에 대해 교육부는 ... ...
인생 최고의 가치는 ‘사람'과 '소통’
동아사이언스
l
2014.11.20
때문이었다. “제가 대학교 3~4학년이었을 때는 민주화와 관련한 이슈 때문에 사회
전반
적으로 갈등과 긴장이 높던 시기였어요. 제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어서 들어갔던 심리학과였지만, 막상 공부를 할수록 내가 왜 심리학과에 왔는지 점점 혼란스러워졌죠. 그러던 어느 날 꿈에서 'should',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개발했다. 김 박사는 “과거에는 대량의 화학 용매가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공정
전반
을 자동화 할 수 있고 용매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고품질의 양자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의 권위 있는 저널인 ‘나노 스케일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