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2,992건 검색되었습니다.
DDT를 개발한 노벨상 수상자가 몰랐던 것
과학동아
l
199912
비소와 납 계열의 살충제가 광범위하게 살포됐는데, 농작물과 토양에 다량의 독성물질이
남아
토양의 생산력이 오히려 떨어지고 인체에도 큰 피해를 끼쳤다.그러다가 1940년대를 거치면서 농작물과 인체에 피해를 덜 주는 새로운 살충제가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이 우리도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12
어째서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는 요즘에도 아직 이렇게 모호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생물학의 중요한 기본 개념인 중복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등생물에는 한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가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중복성). 또 한가지 유전자가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12
하지만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어떤 염기들이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남아
있다(기능유전체학). 또 단백질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복잡한 생리현상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도 별도의 연구가 진행돼야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이미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는 학문 분야가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12
바라보는 시각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아직도 컵 속에는 물이 절반이나
남아
있다는 것. 어쩌면 과학기술에 의해 컵속의 물이 도로 채워질지도 모른다. 단적인 예로 현재 세계적으로 8억명의 인구가 굶주리고 있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4천만명이 줄어든 수치다. 이대로 노력한다면 2015년에는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12
초반부터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한 생물정보학은 오랫동안 별로 눈에 띄지 않는 분야로
남아
오다가 최근 들어 갑자기 큰 붐을 이루고 있다. 생물체와 이들이 이루는 생물계는 다른 무생물적인 대상에 비해 훨씬 더 '정보적'이다.하나의 생물체를 볼 때 DNA 속에 담겨진 정보에 의해서 다수의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12
은하라는 것이었다. 그것도 1백억년 전에 우리은하와 충돌해서 지금은 은하의 핵부분만
남아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칠레에서의 관측을 주도했던 이수창 박사는 “2년여에 걸친 연구팀의 노력이 귀중한 열매를 맺는 순간이었다”고 술회했다.1차적인 자료 분석 결과 우선 성단 내의 별들은 20억년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11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아직 위험부담이 많이 있다.여진은 강진이 발생한 후 단층 주변에
남아
있던 탄성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규모 7.0 이상의 강진이 일어날 경우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까지 수천 회의 여진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진은 보통 본진(mainshock)보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11
먹이를 나눠야한다는 것인데 큰 문제가 될 것은 없다. 함께 먹이를 처리함으로 먹이가
남아
썩어 낭비되는 일도 없고, 남은 먹이를 다른 약탈자에게 빼앗기지 않고 지키기 위해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처음 육식공룡인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가 발견된 것은 1964년 미국 ... ...
개미가 지자기를 감지하는 방법
과학동아
l
199911
어떻게 감지하는 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르고 있어 생물학자들의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었다. 최근 이동생활을 하는 일부 개미들이 체내에 있는 자성을 가진 철을 나침반으로 이용한다는 사실이 발견돼 동물들이 자기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브라질의 에스퀴벨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10
얻을 수 있는 극지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해 연구했다는 자부심은 영원히 필자의 가슴에
남아
있을 것이다. 70일 동안 훌륭한 연구 파트너가 되어 주었던 송태윤 연구원과 필자는 태극기와 한국해양연구소기를 흔들면서 아쉬움을 남긴 채 북극해를 떠나왔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