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거문고와 헤라클레스 자리의 경계에 있다. 복사점이 매우 밝은 별인 베가(직녀별)의
근처
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유성우의 시발점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아마도 이 유성우틑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지방시로 23시 이후가 될 것이다.이달의 먼 하늘 물체별자리 사자는 맹수의 왕답게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0을 대입하면 1/259초의 셔터스피드가 나오므로 1/250초 정도의 노출을 주면 된다.단 지평선
근처
에 태양이 있을 경우 이 계산된 값에다 2를 곱하면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달 사진을 찍을 때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후자의 경우(주변의 경치가 주가 되는 경우)는 상황에 따라서 많이 다르지만 보통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같이 전파의 강도가 센 곳과 약한 곳이 등고선으로 그려진다. (사진2)는 오리온자리
근처
의 한 암흑성운을 전파로 관측한 결과다.전파 관측에서의 또 하나의 어려운 문제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의 세기가 극히 약하다는 것이다. 상상이 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대덕전파망원경으로 감지할 수 있는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미국과 옛소련의 과학자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 우주거울은 극권
근처
에서 나타나는 장기간의 북극야(北極夜) 기간동안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 때문에 특히 옛소련에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러시아인들이 이 우주거울 개발계획에 대해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폴룩스와 힘을 합치려는 듯 그들 쪽으로 접근하기 시작한다.이 때의 화성은 이미 천정
근처
에 떠있기 때문에 해가 진 후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관측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표면무늬나 극관의 관측은 중구경 이상의 망원경을 갖고 있지 않는 한 힘들다. ■새벽 하늘의 토성이달 20일 이후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해양탐사계획을 세운 적이 있는데 여러가지 사정상 무산됐어요. 시간이 나면 학교
근처
무창포에 가서 플랑크톤이라도 직접 채집해 봐야겠어요.이재혁:생물교사들은 다른 과목에 비해 현장조사 기회가 많지만 이런 기회가 자주 있는 것은 아니지요. 학교로 돌아가면 아마 해양 관련 단원은 자신있게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표면과 물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파저항은 수면
근처
의 선체형상과 관계되므로 조파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면과 만나는 선체형상이 가능한 한 작도록 해야 한다. 즉 선체를 수면 위로 부양시키거나 혹은 수면 밑으로 잠수시켜야 한다. 마찰저항도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메시아는 1764년 8월 30일 이 성단을 관측하고 "카스토르의 왼발
근처
에 있는 매우 작은 별들의 집단. 쌍둥이 자리 뮤별과 에타별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라고 기록했고 1770년의 혜성목록에는 지름이 20´(분)이라고 기록했다.웹은 "아름담고 광대한 별들의 영역, 맨눈으로는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표면온도가 수천℃에 달하기 때문에 재료는 이 열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즉 절단부
근처
의 0.1㎛ 정도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것이다.워터제트절단시스템에서는 연마재가 소모재이고 노즐도 자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레이저절단보다 운전비가 비싸진다. 예로 6㎜ 두께의 강재를 워터제트로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롤러코스터가 제작된 것은 188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미국 뉴욕
근처
의 코니아일랜드에 선로와 도약장치(lift)를 갖춘 본격적인 롤러코스터가 첫 선을 보인 것. 그로부터 1세기가 지나도록 롤러코스터가 대중의 인기를 꾸준히 받고 있는데 그 비결은 무엇일까. 아마도 뭔가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