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➏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않고 하나에만 몰두해 좁고 가느다랗게 지식을 쌓으면 무너지기 쉽잖아요. 그리고
마지막
으로 열정과 성실함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공부는 단거리 달리기가 아니에요. 저도 실패를 많이 했어요. 공부는 하루 이틀만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열정을 갖고 하는 성실한 사람이 이깁니다 ... ...
우리는 창의력 대장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틀을 따라 떨어져 추를 밀고, 추는 지렛대를 반대편으로 넘겨 연극 제목을 들어올린다.
마지막
쇠구슬은 투석기를 작동시켜 탁구공을 골대에 넣는다.학생들은 2분이나 작동하는 복잡한 골드버그 장치를 어떻게 만들 수 있었을까. 백승원 학생(3학년)은 “다른 팀보다 독특하게 만들기 위해 처음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가능해진다. 마그마 방이 충분한 크기로 성장하는 데는 약 10만~100만 년 정도 걸린다.➎
마지막
으로 마그마가 분출되기 위해서는 마그마 방의 압력이 급격히 커져 마그마 방을 덮고 있던 암석에 균열이 생겨야 한다. 보통 휘발성 물질이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마그마가 외부에서 추가로 유입되면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축적해 두고 빠르게 반응하기 위해서입니다.이제
마지막
질문을 던지며 글을 마치려 합니다. 인류의 두뇌는 20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까지 꾸준히 커졌습니다. 그럼 5만 년 전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어떨까요. 아까 농담처럼 ‘인류의 머리가 점점 더 커지지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1차원 선분으로 보게 된다.다른 차원의 나라를 방문하다소설의 2부는 주인공이 1999년
마지막
날 꾸는 꿈으로 시작된다. 꿈 속에서 주인공인 정사각형은 1차원인 라인랜드(선분)와 0차원인 포인트랜드(점)를 차례로 방문한다. 정사각형은 라인랜드와 포인트랜드에서 더 높은 차원의 플랫랜드가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 항생제는 꼭 필요한 만큼만 처방하고, 환자는 수칙에 맞게
마지막
까지 확실히 써서 몸 안의 박테리아를 박멸한다. 결핵의 경우, 국가적으로는 강제입원 등을 통해 전파를 막거나,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진단해 취약계층을 돌봐야 한다.지난 해 개봉한 우디 앨런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다 풀리지 않네요. 기사에서 자료를 제시할 때는 항상 자료의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마지막
에 표로 '황화수소의 농도별 인체에 미치는 영향'표의 경우 처음에는 출처가 없었습니다. 반드시 출처를 밝히고 쓰세요. 표현에 있어서는 '~된다. ~어진다.'와 같은 수동태보다는 '~다.'같은 능동태형을 쓰는 ... ...
새벽기차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무엇을 어찌할 수도 없다는 무력감이 섞인 목소리로, 그 한 마디에 인간에 대해
마지막
남은 모든 신뢰를 담은 채로.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대상에 대한 공포에 사로잡혀 있을때에는 좋은 판단을 하기가 쉽지 않다. 공포에 사로잡혀 있지 않을 때에도 쉬운 일은 아니다. 변명할 마음도 자책할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강한 지진 때문에 주민들이 힘들어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큰 규모였다. 현재
마지막
분화부터 약 300년이 지났다. 다시 활동할 기미를 보이는 후지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1000년 전 백두산 분출 화산재만 지하에 있던 마그마가 지상으로 나오면 여러 가지 화산 분출물로 분류된다. 먼저 휘발성 ... ...
전기 자극 받으면 수학 천재로 변신?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매우 약한 전기 자극을 뇌의 여러 부위에 무작위로 보냈다. 대조군 12명에게는 첫 날과
마지막
날만 잠깐 자극을 주었다. 훈련이 끝난 후에 테스트해보니 전기 자극을 계속 준 그룹이 약 32%(약 1.3초) 정도 빨리 풀었다.그리고 6개월 뒤에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6명 씩, 총 12명을 다시 불러서 같은 시험을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