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구
문짝
출입문
도어
게이트
현관
출입구
d라이브러리
"
문
"(으)로 총 2,3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원리의 만물상 자동차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마찰이 작으면 바퀴의 회전속도가 빨라졌을 때, 노면에서 미끄러져 바퀴가 헛돌기 때
문
이다.보통 타이어에 나 있는 홈은 젖은 도로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홈이 나 있지 않다면 도로와 바퀴 사이에 얇은 물의 층이 생기는 수막 현상이 더 심해진다 ... ...
말로폰 아직 걸음마 수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인식하는 수준이니 사람의 일상 대화를 알아듣는 것은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전
문
가들은 컴퓨터가 대화형 언어를 알아듣는 것은 빨라야 2010년정도에나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
무엇이 IQ를 높이나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전달된다. 그러나 여자는 태어날 때 난소에 수만개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
문
에 어머니의 경험은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논리는 어디까지나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불과하다.그런데 스토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의 나이가 많을수록 모든 사회계층에서 아이의 IQ ... ...
1. 1948년의 세 천재 위너 샤논 노이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노이만은 그가 남긴 찬란한 업적에 어울리지 않는 원자폭탄 개발 주역이라는 신분 때
문
에 암과의 투병 생활마저도 감시당한 채 54세를 넘기지 못하고 쓸쓸한 최후를 맞았다. 위너는 그나마 70세가 되도록 정력적인 활동을 펼쳤지만 이국의 강연장에서 드라마같은 마지막 길을 가고 말았다.인간의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점령했을 때 폐허가 된 바벨탑을 재건하려 했지만, 너무나 거창한 사업이었기 때
문
에 중간에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1만여명의 인원이 2개월 간 투입된 후의 일이었다.한편 건설 중이던 바벨탑 위로 혜성이 떨어져 수많은 사람들이 살상당했다는 대담한 가설을 세우는 사람도 있다. 정말 그런 일이 ... ...
첫 조기졸업생 낸 민족사관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영재교육의 요람’ 민족사관고가 첫 조기졸업생을 냈다. 민족사관고 2학년생 4명이 98학년도 KAIST 학부과정에 입학한 것. KAIST의 장호남 학장은 민족사관고 학생 ... 재벌기업보다 낫다”고 하면서, 민족사관고, 과학고 등 영재교육기관이 안고 있는
문
제를 국회에서 풀어보겠다고 말했다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열 중에 일부를 빼내여 일을 해야 하기 때
문
이다. 바이오스피어Ⅱ1991년 미래 우주도시 건설이나 지구의 미래 환경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미국 애리조나주 투손 사막에는 바이오스피어Ⅱ가 건설됐다. 지구의 생물권과 유사하게 만든 인공적인 생물권을 ... ...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모른다. 생명공학의 발달로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종들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
문
이다.일반적으로 같은 종(種)이나 속(屬)에 속하는 동물끼리 수정란 단계에서 서로 결합시키면 새로운 개체가 태어난다. 같은 속에 속하는 양과 염소의 수정란을 결합시키면, 머리는 양이고 몸통은 염소인 ... ...
게으름뱅이 천국 그리고 종말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제품들은 아직 작동되지 않고 있었다. 국가 컴퓨터 시스템이 완비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
문
이다.국가 컴퓨터 시스템이 완비될 시기가 도래하자, 정부는 그날을 국경일에 버금가는 축제일로 삼을 계획을 세웠다. 바로 그날 대규모 국민 축제를 벌임과 동시에 전 가정의 제품을 동시에 작동시키기로 ... ...
바늘구멍 황소바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된다. 공기의 밀도는 낮과 반대로 지면 부근에서는 높고 상공에서는 상대적으로 낮다. 때
문
에 음파는 상공에서 지면쪽으로 휘게 된다.상공에서 지면쪽으로 음파가 굴절되므로 밤에는 상공에서보다 지면 부근에서 소리가 더 잘 들리게 된다. 쥐는 지표면에서 생활하므로 지면쪽으로 굴절된 밤말을 잘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