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는 또 “빨리 부지 선정 문제를 매듭짓고 프로젝트가 시작되기를 바라는 것이 한국측
연구자
들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19일 방한한 클로디 에뉴레 프랑스 연구부 장관은 “프랑스 지지를 표명할 경우 한국의 핵융합프로젝트인 KSTAR가 첫 파이럿 프로젝트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할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57마리의 양들이 사냥꾼의 총에 희생돼왔다. 이 숫자는 전체 큰뿔양의 10% 수준이다.
연구자
들은 이 기간동안 숫양의 뿔 크기가 25%가량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냥 가능한 양의 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사냥꾼들이 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큰 뿔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콜트먼 박사는 “큰 뿔은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심한 경우 시간의 관념을 잃어버린 채 오직 현재속에서만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
들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해마나, 해마가 대뇌피질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중계역할을 하는 대뇌 측두엽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기억상실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과 시간의식에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12월 3일부터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열대의학 및 위생학회 회의에서 필자와 공동
연구자
인 국립보건원 이원자 연구관의 발표가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꾸라지를 이용한 말라리아 퇴치법 소개가 발표의 요지다. 이 내용은 영국 BBC 뉴스에서도 소개됐다. 이 회의에서 발표된 1천2백여 건의 ... ...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같이 발표된 무균 돼지의 복제 역시 엄청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세계
연구자
들의 경쟁이 치열한 분야인데다 인명을 구하는 문제여서 의학적, 경제적 가치가 막대하다.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기 위해서는 우선 크기가 맞아야하고, 동물에게 있는 병원균들이 사람에게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자파가 발생하는 양을 줄이는 것은 상당히어려운 일이다.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
들이 이 연구에 매달리고 있는 까닭이다.우리나라에서도 전자파를 줄이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KAIST 전자전산학과 김정호교수의 테라헤르쯔 배선 및 패키지 연구실에서는 색다른 접근법을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핀란드의 15분의 1이고 일본과 비교해도 절반을 밑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연구자
들은 그 해답을 섭취하는 지방의 종류에서 찾았다. 핀란드인들은 주로 육류와 유제품에서 지방을 섭취한다. 즉 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이다. 반면 크레타섬 사람들의 요리에는 올리브 기름과 생선이 많이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비둘기를 연구하려면 비둘기의 귀소본능을 연구해야 한다고까지 말한다.그러나 영장류
연구자
들은 이런 비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들은 “침팬지가 언어를 갖고 있는가?”라는 질문 대신에 “침팬지들이 어떤 측면의 언어를 갖고 있으며 어떤 조건에서 습득하는가?”라고 물어야 한다고 반박한다.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중간체로 바뀌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발암과정을 억제한다.필자를 포함한 몇몇
연구자
들은 최근 캅사이신이 위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소아민의 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암세포에 캅사이신을 처리할 경우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들을 동물모델로 해 효능을 시험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그러나 대다수의
연구자
들은 사스를 퇴치하려는 이런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당분간은 사스바이러스를 무찌를 마땅한 수단이 개발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올 겨울 사스바이러스가 다시 활동을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