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웃음): 미국은 해요. 러시아와 인도도
참여
하죠. 이렇게 동서와 체제를 넘어 여러 나라가
참여
하는 거대과학은 유례가 없어요. 국제정치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놀라고 있어요. 핵융합 춘추전국시대핵융합 연구 역사는 벌써 반세기가 넘어간다. 최근 활발한 연구 시설은 어디에 있을지 지도에 원은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아주 길다. 이 기간 동안 새끼는 엄마에게 많이 의지한다. 물론 수컷도 종종 양육행동에
참여
하고 때로는 많은 투자를 한다. 그러나 암컷처럼 의무는 아니다.이런 경향은 성선택의 지형을 한쪽으로 몰고 간다. 암컷은 번식의 기회가 제한되는 반면 수컷은 하루에도 여러 번 짝짓기가 가능하고, 이것은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용적이다. 소프트웨어학부는 6개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개발에
참여
할 기회를 늘릴 예정이다. 3학년 때는 학생들끼리 팀을 이뤄 PC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웜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또한 강한 중력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 영화 제작과정에
참여
한 킵 손 박사에 따르면, 웜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은 질량이 없어야 한다. 우주의 거의 모든 물질은 작게나마 질량이 있기 때문에, 이런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게다가 무엇보다도 중력에 ... ...
[
참여
]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서울대 수리과학부 이학박사 출신의 CMS 영재교육연구소 부소장 등 수학계의 전문가들이
참여
해 토론 능력을 평가했다. 마지막 미션은 ‘릴레이 게임’이다. 이름 그대로 마치 릴레이 경주를 하듯 답안지를 배턴으로 삼아 문제를 푸는 코너다. 릴레이 게임은 10문제를 팀원들이 협동해 가장 빠른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모르게 진행해야 게임을 더 유리하게 할 수 있다.팃포탯 맛보기"저는 라이어게임에
참여
하는 내내 계속 생각해 봤어요. 정말 속고 속이기 위해 만들어진 쇼인 걸까? 그럴 수도 있죠.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우리가 정말 서로를 믿을 수 있는지 시험하는 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전 여러분을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협력하고, 원천기술도 확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에 모두가 열정을 갖고
참여
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본부장은 인터뷰를 마치자 마자 회의를 위해 총총히 사라졌다. 지구 반대편에 사는 회원국 연구원과의 화상회의가 오후6시부터 시작될 예정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 ...
일반상대론 100주년 독자설문조사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015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
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이론’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3호의 여정탐사선으로서의 기능은 끝났지만 ISSE-3호의 모험은 끝나지 않았다. 공개모금에
참여
했던 구글은 ‘스페이스 크래프트 포 올’이란 사이트를 만들어 ISEE-3호의 정보를 공개했다. 화려한 3D 그래픽과 반응형 브라우저로 ISEE-3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7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친구를 이곳에서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는 거의 없다. 벨기에의 미라 프로젝트에는 SCK·CEN 소속 한국인 과학자가 두 명
참여
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국제공조는 전무하다. 학계에서는 황일순 교수가 미라 프로젝트와 비슷한 방식의 차세대원전(납냉각고속로)과 핵변환 기istockphoto술(파이로그린)을 연구하고 있는 게거의 전부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