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력
강한 어조
가능력
뉴스
"
강력함
"(으)로 총 2,92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의 공범 미국·러시아에 분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오는 14일까지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가 열린다 2015년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정의 세부 이행규칙을 마련한다. EPA/연합뉴스 이달 2~14일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서는 지난 2015년 체결된 파리기후 변화협약의 세부 이행규칙이 집중 논의되 ... ...
색상과 형태 동시에 인식하는 시신경 모방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시냅스 모방 반도체 소자와 광 반도체 센서를 결합시켜 다양한 색상에 따라 다른 시냅스 특성을 보이는 한 단계 진보된 시신경 모방 광시냅스 소자를 만들었다. -사진 제공 한국연구재단 색상과 형태를 동시에 학습하고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가 개발됐다. 인간의 두뇌를 닮은 새로운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감마선 별자리. NASA 제공 사람들은 문명이 시작되기도 전인 까마득한 옛날부터 밤하늘을 관찰했다. 밤하늘에 가득한 별 중 가까운 것을 이은 다음 그 형태에 따라 떠오르는 물건이나 동물의 이름을 붙이곤 한 것이다. 이처럼 별들을 연결한 하늘의 구역을 ‘별자리’라고 한다. 그런데 왜 옛사람들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노벨상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새로운 레이저 기술을 개발한 제라르 무루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니크 명예교수,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와 레이저의 새로운 활용을 개척한 아서 애슈킨 전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 등 3명에게 돌아갔다. 일반적으로 노벨상이 한 가지 연구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2억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아벨 1689' 은하단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영상. 가운데에 마치 렌즈로 확대한 듯 은하 분포가 둥글게 왜곡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눈에는 안 보이지만 암흑물질이 존재해 은하로부터의 빛을 렌즈처럼 휜 결과다. 암흑물질이 존재한다 ... ...
‘암호깨기 전문가’ 천정희 서울대 교수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 - 사진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요즘은 학회에서 암호 학자를 만나면 '또 암호 깨진 거 있느냐?'는 질문을 듣곤 합니다." 차세대 암호 전문가인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세계 암호학계에서 '암호 깨기 전문가'로 꼽힌다. 차세대 암호의 강력한 후보로 알 ... ...
세계가 다시 머리를 맞댔다…기후변화 막을 최후 대안 만들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지난 2일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가 개최됐다-연합뉴스 미국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파리협약에 대해 재차 반대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이달 2일부터 14일까지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리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4)에 전 세계의 관심 ... ...
고양이를 패대기친 강아지
팝뉴스
l
2018.12.02
팝뉴스 제공 장소는 일반 가정의 거실인 것으로 보인다. 등장 캐릭터는 고양이와 푸들 강아지다. 그리고 주변에서 놀라워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고양이가 푸들 강아지 곁으로 접근했다. 강아지는 긴장했다. 곧바로 고양이가 달려드는 데 상상도 못한 일이 벌어졌다. 강아지가 고양이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12개의 이슈에 대한 순위 선정을 위해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한국 시간으로 오는 6일 오후 2시까지 사이언스 홈페이지를 통해 투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이달 20일 발표할 예정이다. https://www.sciencemag.org/news/2018/11/choose-your-2018-breakthrough-year ... ...
[여기에 과학]현생 고래 조상의 등장시기 800만년 더 앞당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약 3300만년 전 생존했던 이빨과 수염이 모두 없는 고래의 화석이 발견됐다. 가장 오래된 수염고래의 화석이 2500만 년 전으로 확인돼 있기때문에 최초의 수염고래는 약 3300만 년 전에서 2500만 년 전 사이에 탄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래의 최초 조상은 육지에서 약 5500만 년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