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622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0년 전 12월 24일, 미항공우주국(
NASA
) 소속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윌리엄 앤더스가 찍은 '지구돋이'. -
NASA
제공 ‘지구돋이(Earth rise)’. 미항공우주국(
NASA
)의 공식 기록인 'AS8-14-2383HR '사진에 붙은 이름이다.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인 1968년 12월 24일 달 궤도를 돌던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윌리엄 ... ...
기해년 벽두에도 '혜성의 고향'에선 인류 도전이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별명이 붙은 이 천체의 형태부터 형성 과정을 밝힐 데이터를 얻을 예정이다. -사진 제공
NASA
2019년 새해 시작부터 굵직한 우주 탐사 이벤트가 잇달아 펼쳐진다. 낮과 밤하늘을 수놓을 중요한 천문 이벤트도 몰려 있다. 1월 1일에는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새로운 소식이 들려올 예정이다. 2006년 1월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입고 달에 착륙한 모습. 이 우주복이 곧 분해돼 없어질지도 모른다.-미국항공우주국(
NASA
) 제공 ⑩ 오래돼 낡아서 부서진 아폴로우주인 우주복 수많은 현대 문화유산이 사라질지도 모른다. 현대를 상징하는 소재인 플라스틱이 생각지 못한 문제를 던져주었다. 사람들은 플라스틱은 영원히 남아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될까요? 지난 12월 3일 카자흐스탄에서 소유즈호가 발사됐습니다. 이때 우주로 떠난
NASA
의 우주비행사 3명은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중 앤 맥클레인은 그녀의 아들을 비롯해 우주를 바라보는 전 세계의 어린이를 위해 크리스마스 엘프 인형을 데려갔습니다. 크리스마스 ... ...
"우주 비밀 간직한 '운석의 보고' 극지, 현장연구에 답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발견된 운석은 큰 연구 성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1996년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남극 빙하에서 발견된 앨런 힐스 운석에서 화성에서 온 생명체의 흔적을 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운석 위에 약 20~100㎚(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제공 ● 태양으로 떠난 파커, 고에너지 중성미자 등 우주 연구 새 국면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지난 8월 발사된 태양 접근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가 7번에 걸쳐 금성에서 플라이바이(행성 중력을 이용해 마치 용수철처럼 되튀며 거리나 방향을 바꾸는 항해술)를 펼치며 태양을 관측할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것”이라고 추측했다. 다른 기관에서는 FAI의 우주 경계를 꼭 따르지 않는다. 미 공군과
NASA
는 고도 80㎞ 이상 오른 비행사에게 우주 비행사라고 인정하는 배지를 수여하고 있다. ●우주 경계를 정해야 분쟁 피할 수 있어 시에라네바다코퍼레이션(SNC)의 우주선 ‘드림체이서’. 다양한 ... ...
1609년 갈릴레이 발견한 토성 고리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토성 고리는 대부분이 물이 언 얼음으로 구성돼 있는데, 크기가 먼지만 한 것에서부터 자동차만 한 것까지 다양하다.-
NASA
제공 보기만 해도 우아한 토성의 고리는 1609년 갈릴레 ...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한다면 토성 고리의 수명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ASA
제공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뉴런인데 이를 통해 어떻게 뉴런이 자라고 손상을 받는지 연구한다. 폭풍과 소용돌이.-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탐사선 주노(Juno)는 가스로 가득찬 목성에 대한 풍부한 데이터와 스펙터클한 이미지를 보내왔다. 목성 북반구에서 하얀 타원형의 소용돌이치는 구름과 큰 폭풍을 볼 수 있다. ... ...
오늘밤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가장 잘 보이고 쌍둥이 자리가 위치한 하늘 한 가운데를 보고 있으면 관찰할 수 있다.
NASA
는 겨울철 추위에 대비해 침낭과 담요를 준비하고 도심지역을 벗어나 빛이 별로 없는 시골에서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관찰할 것을 추천했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