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10
수 있는 컴퓨터로, 네그로폰테 교수가 꿈꿔 오던 세상을 이뤄줄 수 있는 장비다. 실제로
100
달러 노트북은 플라스틱과 값싼 패널로 만들어져 최소한의 기능은 충실하면서도 자가발전기를 갖추는 등 개도국의 사정을 충실히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네그로폰테 교수는 “기술과 비전의 발전이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10
질량에 따라 다르다. 노년기 별의 진화를 명확하게 밝힌 사람 중 하나가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 한국에서는 경술국치로 국권을 일본에 빼앗겼던 해에 태어난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다.항해 중인 배 안에서 별의 최후 밝혀찬드라세카는 당시는 영국 지배하의 인도였지만 지금은 파키스탄에 속한 ... ...
나노 용어 알고 쓰세요
과학동아
l
201010
국가 표준이 제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표준에 따르면 나노 크기(nanoscale)는 1∼
100
nm(나노미터,1nm= 10억 분의 1m)범위로 정의됐다. 나노 물체(nano object)는 물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로·세로·두께 중에서 1개 이상의 길이가 나노 크기인 물질로, 나노입자(nanoparticle)와 나노섬유(nano fiber)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10
김선수 박사팀이 이트륨, 세륨 같은 희토류 금속을 입자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1μm=
100
만 분의 1m)가 되도록 가공하는 데 성공했다. 이트륨은 PDP나 발광 다이오드(LED)의 형광체 역할을 한다. 구형으로 제작하면 빛이 균일하게 뿜어 나오고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도 줄어든다. ... ...
2초 만에 시속
100
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10
1~2년 주행하는 자동차를 만들지 않는다. 하지만 F1 머신은 오직 달리기 위해 태어난 차다.
100
억 원을 호가하는 가격에도 불구하고 머신에는 드라이버의 운전을 돕는 편의장치라곤 전혀 없다. 계기판과 속도계도 없고 오직 엔진회전수를 볼 수 있는 장치만 있다. 드라이버도 간신히 들어가는 좁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10
만든 전도성 폴리머와 연결했더니 기존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
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연구원들도 나노 고분자에 푹 빠져있다.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는 석사과정 연구원들도 국제 수준(SCI급)의 논문을 다섯 편씩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10
30~40mV의 막 전위가 나타난다.결과적으로 탈분극 상태의 전위와 휴지 전위의 차이는 약
100
mV가 되는데 이를 활동 전위라 한다. 일시적으로 바뀐 막 전위는 의 ③과 같이 막 밖으로 방출되는 K+에 의해 다시 역전되는데 이를 재분극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뉴런의 한 부분이 자극을 받아 활동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10
이용해 때나 기름을 제거하는 데 1g에
100
~300㎡의 표면적을 가진다. 아파트 한 채가
100
㎡정도인 걸 생각하면 제올라이트 1g이 아파트보다 넓은 셈이다.다양한 수학적 방법이 동원된 MP3지성이네 현관문은 디지털 도어록이다. 그러나 지성이가 버스카드를 대도 번호를 눌러도 문은 열리지 않는다. 디지털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09
중에 주유를 할 수 없게 됐다. 주유 없이 주행거리를 완주해야 하기 때문에 머신에는 약
100
L의 연료를 더 실어야 한다. 무게를 견디기 위해 타이어의 내구성과 접착력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됐다.머신에는 폭이 넓은 타이어를 사용한다. 그러면 고속에서도 안정감 있게 달리면서 노면에서 올라오는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09
산업화의 첨병이었던 도시는 새로운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급격히 쇠락했다. 지난
100
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도시가 흥망성쇠를 겪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6000년 동안 벌어진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다. 환경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변화가 더 과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