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EVENT]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게임을 알려주세요! 롤, 오버워치, 피파, 카트라이더, 발로란트, 얼불춤, 와일드 리프트 등혹시 이 중에 여러분이 즐기는 게임이 있나요? 없더라도 괜찮습니다. 과학동아에 알려주세요. 과학동아가 게임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사전 설문조사를 합니다. 여러분들이 어떤 게임을 좋아하는지 알아야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프로 운동선수였다. 덕분에 암벽 등반이나 동굴 다이빙 등 미지의 장소를 탐험할 수 있게 됐다. 일반인들에게 이런 장소들이 위험한 이유는 간단하다. 생존에 필요한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훈련과 연습만 있다면 육체적으로 불편한 건 없다. 예를 들어 인간 생활권과 멀리 ... ...
- [이달의 식물사연] 밤마다 기도하는 식물, 칼라테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칼라테아(Calathea)의 잎은 매우 놀라운 무늬를 가졌다. 초록색 바탕은 채도가 다양하다. 줄무늬는 섬세하고 보랏빛과 선홍빛이 섞인 불꽃 같은 패턴도 보인다. 금속과 같은 색 ... 일’이 있고, ‘세상을 바꾼 식물이야기 100’ ‘식물: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등을 번역했다 ...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했더니 5점 만점에 4.26점이 나왔다.성격 분석만이 아니다. 운세를 보는 사주나 타로 등 웬만한 점술에는 다 적용할 수 있다. 성격이든 앞날의 일이든 두루뭉술하게 늘어놓으면, 사람들은 어떻게든 그 내용을 자신과 결부해 생각하기 마련이다. 진짜 용한 역술인이 있는 게 아니라 많은 사람이 ... ...
- Z세대의 사진, 쇼핑 소셜앱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앱을 통해 볼 수 있어. 자신의 패션도 뽐낼 수 있고 패션과 메이크업 노하우, 패션 조합 등을 물어볼 수도 있어.스타일쉐어는 좋아요 수와 댓글 개수를 종합해서 순서대로 보여주는 알고리즘이 핵심이야. 최신순서로 올라오는 것보다 우리 Z세대의 취향에 맞는 옷들을 빠르게 훑어볼 수 있지.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샛별등대호가 만들어짐에 따라 계속 복제되어 그 배와 함께 할 것이다. 우리들은 그 샛별등대호에서 사람들이 살아가고 싸우고 조금 닮고 다른 모습으로 이어져가는 모습을 지켜볼 것이다. 우리들 중 누군가는, 운이 좋다면 저 은하수를 건너가, 은하가 생전에 말하던 저 케플러-186에 도착할 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는 실생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반응이에요. 물질이 불에 타거나 금속이 부식되는 일 등이 산화·환원 반응 때문이죠. 이 실험에서는 과일의 산화·환원 반응을 응용해 전구에 불을 밝혔어요. 전구에 불을 밝히려면 얼마큼의 과일이 필요할까요? 궁금하다면 지금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헷갈리는 비와 비율, ‘기준’이 중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두 양을 기호 :을 사용해 비교한 것을 비라고 해요. 그런데 어떤 양이 기호 :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어떤 양이 왼쪽에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을 확실하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봐요. 힌트는 비를 읽는 방법 속에 있답니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줄 알았다. 내 의식이 다른 몸에 들어가기도 하고, 다른 의식이 내 몸에 들어오기도 하는 등 정신이 없었다. 이게 어떻게 된 거지?”“몰라요. 갑자기 로봇들이 단체로 고장난 것 같았어요.”“일단 여기서 나가자.”프로보와 딱지는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밖에는 아까보다 더 이상한 풍경이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체”라고 말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정수론과 표현론 등 수학의 여러 분야를 잇는 작업인데, 그 작업에 치머만 교수가 도움을 준 셈이지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앙드레 오르트 추측은 정수론에서 굉장히 역사가 깊은 문제”라며, “이런 문제를 푼 것도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