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제시했다. 최근까지 많은 천문학자가 관측을 통해 이를 증명하려고 했지만 끝내
발견
하지 못했다.그런데 세르게이 코포소프 미국 카네기멜론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블랙홀에 의해 은하를 빠르게 벗어나는 별을 관측해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보’ 11월 4일자에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O4)에 자기장으로 진동을 유도하면 영하 30도까지 얼음 결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
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018년 5월 7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doi: 10.1073/pnas.1800294115빙결억제단백질(AFP·Antifreeze Protein)을 이용해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냉동시키기도 한다. AFP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통합생물다양성연구센터 연구원은 “열대지방은 구멍을 수km 팔 때마다 새로운 지렁이를
발견
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렁이 지도에는 국내 지렁이 분포도 빠져 있다. 최 박사는 “지렁이는 토지를 비옥하게 할 뿐 아니라 무엇이든 먹어 치워 퇴비로 만들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 문제도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재료로 금을 사용했다.금은 사회를 뒤바꾼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미국 서부에서 금광이
발견
됐다는 소식이 들려온 이후 ‘골드러시(Gold rush)’라는 말 그대로 사람들은 금을 캐기 위해 미친 듯이 달려갔다. 특히 1949년경 성행했던 캘리포니아 골드러시를 살펴보면, 골드러시 이전에는 불과 1000명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리카르도 코민 MIT 교수는 “양자 물질에서 프랙탈 구조를
발견
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연구 의의를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월 15일자에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떤 도형을 조각내 다른 모양의 도형을 만들 수 있으면 이 둘을 ‘분할합동’ 관계라고 합니다. 1900년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는 20세기에 풀어야 할 23가지 문제 중 하나로 분할합동 문제를 지목했습니다. 부피가 같은 두 다면체에 대해 하나를 유한개의 조각으로 나눠서 다른 하나를 만드는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합인 ‘등비급수’를 이용해 포물선의 면적을 구하기도 했어요. 자연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수열 중 유명한 수열은 ‘피보나치 수열’이에요. 피보나치 수열은 기원전 5세기 인도의 수학자 핑갈라가 쓴 책에 처음 등장했어요. 유럽에 아라비아 수(0~9)를처음 소개한 13세기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좋겠습니다.” ● MATH STORY, 오늘 배운 개념으로 나만의 이야기 만들기수학의
발견
에는 나의 생각과 친구의 생각을 적는 것 이외에도 재미있는 과제들이 한가득 있어요. 지금까지 배운 수학 용어를 이용해 이야기를 만드는 ‘내가 만드는 수학 이야기’, 이전에 배웠던 개념과 지금 배운 개념의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주장했어요. 그는 이곳이 혜성의 고향이라고 추측했지요. 이후 이곳에서 여러 천체가
발견
되면서 카이퍼 벨트의 존재가 확증되었답니다. 그러면 카이퍼 벨트가 태양계의 끝일까요? 천문학자들은 카이퍼 벨트 바깥에는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싼 ‘오르트 구름’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요.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성과가 유독 많았다.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신의 입자’ 힉스가 48년 만에 처음으로
발견
됐고(2012년), 100년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도 이를 찾아내려는 25년간의 노력 끝에 확인됐다(2016년).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인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