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번개가 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전류가 강하게 흐르면서 섬광이 나타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1970년 대에 캐나다에서 찍힌 지진광이에요. 이 근처에서 1973년 7월 1일 규모 6.7 지진이 발생했답니다.지진대책 예측불가 현상, 경고로 대비한다지진계, 응력계, 인공위성…, 모든 방법을 다 동원2009년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또 초식동물은 대부분 눈동자가 네모나다. 이런 눈동자는고양이 눈과는 반대로 동공 위아래에 근육이 달려 있다. 가로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해 수평적인 시력이 뛰어나다.연구팀은 네모 눈동자를 흉내 낸 카메라로 광축을 시축과 비교했다. 광축은 눈에서 동공, 망막까지 선으로 그었을 때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겉보기와 달리 그 무게가 요트 전체 무게의 반 정도인 용골은 요트의 무게 중심을 아래로 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요트가 많이 기울더라도 뒤집히지 않고 오뚝이처럼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용골이 무거울수록 요트가 많이 가라앉고, 물살에 의한 저항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용골의 또 다른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오늘의 해가 지는 만큼 둘의 사랑도 한층 더 깊어집니다. 햇살 아래 데이트를 마친 소년이 말합니다. “자, 이제 우리 라면 먹으러갈까?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느끼는 부담감이 가장 클 것”이라고 말했다.그래서 저자권 문제는 아직도 수면 아래 있다. 2013년 2월 브릭에서 이용자 10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연구윤리 문제 중 저자권(authorship) 때문에 고민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41%). 반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대부분 개인적 차원에서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변수를 그 변수의 역수(곱해서 1이 되는 수. x의 역수는 1/x다.)로 모두 바꾸면 가닥의 위아래를 모두 뒤바꾼, 거울속 매듭의 식이 된다. 원래 매듭의 존스 다항식과 거울에 비친 매듭의 존스 다항식이 다르면 원래 매듭을 아무리 움직여도 거울 속 매듭으로 만들 수 없다. 모든 매듭을 구분할 수 있는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새끼들의 보금자리를 만들기 위해 시체 아래쪽에 들어가 흙을 퍼 올린다. 시체를 아래위나 좌우로 흔들며 땅속에 묻은 뒤에는 흙이나 낙엽을 덮어 그럴듯하게 매장을 한다. 그 뒤 시체 표면에 알을 낳는다. 파브르 곤충기에서 시체를 파묻는 생태이야기가 인기를 끌면서 송장벌레가 시체를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같이 놓으면 전부 같은 박자를 가지고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 역시 동조 현상이다(왼쪽 아래 QR 코드 참조). 사람도 메트로놈처럼 외부에서 강렬한 리듬의 음악이 들려오면 그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게 된다. 리듬이 강한 음악을 들으면 그 리듬에 맞춰 어깨가 저절로 들썩이는 게 그 예다.김영실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화여대, 포스텍, 연세대 소속 7명의 학생들이 최용상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의 인솔 아래 참여했다. 학생들은 WSCI 참가 지원서를 작성하고 영어 면접에 통과해 한국대표단에 선정됐다.“노벨상 수상자들은 공통적으로 깊고 순수한 호기심을 갖고 자신의 연구 분야를 바라봤다고 말해요. 그러면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반면, 선형 교류발전기는 왕복운동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 기둥이 진동할 때 위아래 기둥 사이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선형운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킨다. 볼텍스 블레이드리스사는 지금까지 높이 13m인 시제품 ‘볼텍스 미니’를 이용해 4kW의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고, 컴퓨터 하나를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