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지만 타운스는 장치 개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메이저 이론의 발견 우선권을
주장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동일한 구상을 먼저 논문으로 발표한 과학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구(舊)소련 물리학자 알렉산더 프로호로프인데, 타운스는 1955년 영국 케임브리지 패러데이 학회 모임에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단백질을 만들 수도 있다. 말 그대로 단백질 제조 공장을 만드는 셈이다. 처치 교수의
주장
이 다소 과장된 것 같지만 리보솜의 단백질 제조 능력을 업그레이드한 최근 연구 결과들을 보면 가능성이 있는 얘기임을 알 수 있다.새로운 아미노산 집어넣는 데 쓰는 ‘종결코돈’단백질을 만드는 데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해 잘못된 역사가 널리 알려졌던 이유는 무엇일까. 한 사람이 잘못된 정보를 갖고
주장
한 내용을 사람들이 자세히 알아보지 않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확대해 퍼트린 결과다. 아이러니하게도 고추 유래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고유 음식인 김치나 장을 발효시키는 미생물에 대한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때(붉은 선)와, 악취를 맡는 장면을 봤을 때( 노란선) 뇌의 같은 부분이 활성화된다.내
주장
은 당당하게!학교에서 친구에게 화가 날 때,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인기 없는 외톨이가 되지는 않을지 걱정하며 그저 웃어야 할까? 결코 그렇지 않다. 전문가들은 화가 난 상태에서는 ‘일단 하던 것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고 확산정도가 적어 안정적인 송전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담당 연구자들의
주장
이다. 이들의 목표는 전력 1GW(기가와트, 1GW=109W)를 레이저빔으로 옮기는 것. 이 정도면 중형 원자력발전소 한 기가 생산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반면 전력 생산비용은 1kWh당 8엔(약 100원)으로 현재 일본에서 ... ...
죽음을 예고하는 자살 경고등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따르면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죽음을 연관짓는 사람은 자살을 시도할 확률이 높다는
주장
이다.녹 박사는 미국의 종합병원에 있는 정신질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내재적 연관테스트(IAT)’를 실행했다. IAT는 참여자가 어떤 단어를 봤을 때 순식간에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는지 알아보는 테스트. 원래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올인’하기보다는 석유의 수명을 늘려가며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
했다. “풍력은 가장 경쟁력 있는 미래에너지”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수많은 에너지 기술이 마치 궁극의 대안인 양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어느 기술이 ‘미래에너지’가 될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정확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매순간 정보가 바뀌고 바뀐 정보가 신경세포 사이를 흐르면서 연결성이 생긴다는
주장
이다. DTI의 장점은 일단 외과적 수술이 필요 없고 짧은 시간에 뇌 전체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DTI 기법의 하나인 ‘물 확산 텐서 자기공명영상법(WDTI, Water Diffusion Tensor MRI)’은 대뇌 속 물 분자들의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임사체험자들의 상당수가 천장에서 의료진을 내려다보는 유체이탈을 경험했다고
주장
하는 데 착안해,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공간에 천장에서만 볼 수 있는 그림을 설치했다. 파니아 박사는 “그림을 봤다는 환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임사체험은 환각일 가능성이 높다”고 BBC와의 인터뷰에서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같은 특징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를 적당히 섞어 놓은 듯 닮았다”며 버거 박사의
주장
에 힘을 실었다. 그러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팀 화이트 박사는 “세디바는 해부학적인 특성이 약간 다를 뿐 아프리카누스가 틀림없다”며 반박했다.그는 세디바 화석에 대해 “아프리카누스가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