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두 언어의 사전과 그 대응관계를 밝힘으로써 가능하다고 봤다.이러한 단순한 생각에서
출발
했던 기계번역 연구는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었다. 언어체계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단어가 아니라 통사(또는 문법) 구조이기 때문에 통사 구조를 소홀히 하는 기계번역 연구가 큰 실효를 보지 못했던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있을 때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지하고 있다가 위험상황이 해제되면 재
출발
이 가능하여야 한다. KARV-1호의 경우에는 2대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인간이 두 눈을 활용해 원근판단을 하는 원리를 이용, 앞에 나타난 물체가 높이가 있는 장애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설계돼 있는 것이다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최소단위를 양자(quantum)라 부른다.이는 현대물리학이 새
출발
하는데에 아주 적당한 사건이었으나 고전물리학에게는 기초마저 흔들리는 위기였다. 에너지가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다니! 그렇다면 움직이는 자전거의 속도도 연속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정책의 주요 내용이었다.그러나 일천한 산업화 역사와 거의 전무했던 과학기술기반에서
출발
한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체제는 수요 공급간의 양적 철적 괴리가 상존하고 기술혁신 주체간의 상호연계성이 취약해 국가발전에 대한 국내 과학기술의 기여도가 높지 못했음이 사실이다. 특히 80년대 말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라는 주장으로 지난 70년대 초 영국의 대기화학자 제임스 러브록이 제안한 가설에서
출발
하였다.대지의 여신 가이아만약 우리가 우주선을 타고 우주 공간에서 지구를 바라본다고 가상해 보자. 푸른 빛을 띤 아름다운 지구는 우리를 매혹시킬 것이다. 또 우리가 지구의 나이만큼 오랫동안 지구를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적어도 지구환경 보전문제의 필요성에 세계가 인식을 같이하고 그를 위한 세계적 협력을
출발
시키는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2. 염색체 21 Q·Y 유전자지도 작성인간의 완벽한 유전자지도를 제작하는 게놈프로젝트는 엄청난 연구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대표적인 빅사이언스(Big Science)의 하나다. 앞으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우리 우주의 시공간적 진화를 보여준다는 물리적 의미를 갖고 있다.일반상대성이론에서
출발
그러나 이들이 힘겹게 도출해낸 해는 엉뚱한 결론을 내포하고 있었다. 우주는 살아있는 생물처럼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수축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어처구니 없는 우주의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많은 회원은 우리나라 산천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한 순수한 관심으로
출발
한 아마추어들이다.아마추어 10년올해로 10년을 맞은 자생식물연구회는 이제까지의 모습을 탈피해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려고 한다.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했다. 식물 이름 하나 제대로 모른 채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기업이 공동참여 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첨단반도체를 개발해왔다. 4메가에서
출발
한 이 방식은 16메가를 거쳐 최근에 64메가 개발을 성공시키는데 이르렀다.공동개발이란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프로젝트를 주관하고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참여하며, 개발비용은 정부와 기업들이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모저모를 살펴보자.먼저 '플랑크톤의 세계'에 들어서면 바다에서 모든 생산의
출발
과 바탕이 되는 각종 동식물플랑크톤의 세계가 폭 50㎝의 특수제작된 합성수지 전시판을 통하여 펼쳐진다. 그리고 1차 생산자(플랑크톤)에서 최종 소비자인 사람에 이르기까지의 바다의 먹이사슬 관계가 비디오로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