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뉴스
"
혈관
"(으)로 총 1,99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특정 순간에 뇌
혈관
속의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법정은 과거 거짓말 탐지기가 그랬듯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경험적 검증을 거쳐야 하고 과학자 사회에서 널리 수용돼야 증거로 채택할 수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문제가 생기면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남 단장은 “췌도
혈관
의 염증과 섬유화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당뇨 없는 건강한 노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바꾸는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얼마든지 작은 크기로도 제작할 수 있어 장기나
혈관
에 투여하는 의료용 로봇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라이언 헤이워드 교수팀은 종이접기를 활용한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가로세로 0.7mm짜리 평면이 마치 색종이가 ... ...
거부반응 2개 억제한 돼지 장기, 원숭이에 이식 성공
2014.11.04
이상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은 “이식 후 수 개월 뒤에 발생할 수 있는
혈관
성 거부반응까지 조절한 3세대 형질전환 돼지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의 대기 기간은 평균 5년으로,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형질전환 돼지의 장기가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수술을 받은 사람들 다수는 체중이 줄기도 전에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의 완화와 심
혈관
질환 위험성 감소 등 생리 전반적인 개선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또 입맛도 변해 기름진 음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술로 인한 생리적인 변화를 이해할 수만 있다면 이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 ...
비아그라, 심장병 치료제로 쓰는 날 올까
2014.10.20
않았다. 비아그라의 주 성분인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즈5 저해제(PDE5i)는 사실 심장
혈관
의 지름을 넓혀 심장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하지만 동물실험 결과 심장병 증상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있는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고, 오히려 PDE5i가 일부 근육 조직의 완화를 막는 데 탁월한 ... ...
애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결과 단백질 58%, 지방 18%, 탄수화물 17% 등으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
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77%, 불포화지방산 중 하나인 올레산은 100g당 약 8∼14g 들어 있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독성평가와 안정성평가에서도 모두 합격점을 받았다. 윤은영 연구사는 ... ...
비틀스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는 이런 느낌?
2014.10.07
것 같은 이 사진은 태어난지 일주일 정도 된 쥐의 눈에서 유리체
혈관
만 분리한 뒤
혈관
의 핵을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비틀스의 명곡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와 어울려 동일한 제목을 붙였다. 초신성이 우주의 신비를 보여주듯이 생명체 안에서도 사라짐과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또 시간이 지나면서 저산소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손상 부위 주변의
혈관
에서 새로운
혈관
이 뻗어 나와 산소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AKAP12 단백질이 다시 생산됐다. 다친 부위 주변으로 새로운 뇌수막 구조가 다시 구축된 것이다. 김규원 교수 연구팀이 밝혀낸 뇌수막 회복 원리. 손상된 ... ...
영상통화 하면서 심장병 진단한다
2014.08.31
양의 변화를 카메라 센서로 잡아내는 것이다. 얼굴 피부는 다른 부위보다 얇고
혈관
이 피부와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변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실제로 성인 11명을 대상으로 이 시스템으로 얼굴색을 측정한 결과, 진단 정확도가 8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전도 측정기의 측정 정확도(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