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디테일을 정말 잘 살렸네요~!”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0회 천체사진공모전에 출품한 작품을 심사하던 심사위원들이 감탄사를 내뱉었다. 영예의 대상은 ‘Sun(태양)’을 출품한 김일순 씨에게 돌아갔다. 그에 버금가는 작품도 많았다. 안드로메다은하,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때부터 배운 분자 정보에 기반한 분류학 지식을 겸비하고 있는 윤 교수는 이곳저곳에 공동연구자들이 포진해 있다. 윤 교수는 올해 본격적으로 성균관대 실험실을 꾸리고 있다. 현재 구성원은 석사과정에 입학한 대학원생 한 명과 며칠 전부터 출근하는 박사후연구원 두 명이 전부다. 그가 대학에 ...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오페라(OPERA)’ 팀과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공동연구 결과다. CERN의 양성자가속기(SPS)에서 쏜 중성미자 빔을 약 730km 떨어진 그란사소국립연구소에서 검출한 뒤, 시간과 거리를 이용해 속도를 구했다. 측정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약 60ns(나노초, 10억분의 1초) 일찍 ... ...
- [4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미국, 러시아, 중국 등 29개국은 2월 22일 모스크바에 모여 EU의 탄소세 부과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탄소세 납부거부를 포함해 항공협정 개정 등 보복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이에 EU는 “보복에 즉각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자국의 항공사들에게 탄소세를 납부하지 말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하니 공동 연구의 의의가 있지요.”이들은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트위터를 통해 모인 ‘백인천프로젝트’ 멤버들. 올해 30주년을 맞은 한국 프로야구의 역사를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뒤 이를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MRI가 세상에 태어났다. 두 교수는 MRI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2003년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MRI가 등장하면서 신체 내부를 볼 수 있는 영상진단법은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X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기존 방식은 방사선 노출로 인체가 해를 입거나 해상도가 낮은 문제를 ... ...
- 제11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100만원을 받는다. 특히 올해 고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과학동아와 한국해양연구원이 공동주관하는 열대해양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에 참가해 글쓰기 실력과 창의력을 마음껏 펼쳐보자 ...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통해 우수기술을 쉽게 이전하도록 돕는다. 글로벌 사업과 특구 사이의 공동연구도 지원한다.특히 지난 해 말 선정한 특구 별 특화분야 지원을 강화한다. 대덕특구는 IT·바이오의학·나노 등, 광주특구는 광학·친환경자동차부품·디자인·스마트그리드 등, 대구는 스마트IT·소재·메카트로닉스 등 각 ...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발판을 만들었다. GTI의 기술을 이전받은 이플러스텍은 3억5000만 원을 들인 약 2년 간의 공동개발 기간을 거쳐 플라스마 발생 장치 양산에 성공했다. 이플러스텍은 2009년 56억원, 2010년 120억원, 지난해 약 300억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상아탑에서 만든 잠자는 과학기술을 기업이 양산 및 실용화할 수 ...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있을까. 놀랍게도 미국 스탠퍼드대와 지진 관련 기업인 퀘이크파인더(Quakefinder)가 공동 개발한 ‘퀘이크샛(QuakeSat)’은 2003년에 발사돼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매우 낮은 영역의 지구 자기장을 우주에서 관측해 지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지난 2월 벨기에에서 열린 QB50은 이르면 2014년,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