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d라이브러리
"
금속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타이태닉호 침몰 84년만에 선체 일부를 인양했으나 체인이 끊어지는 바람에 실패. 은하나 성단(星團)을 입자로서의 항성(恒星)의 집합체로 간주하여 항성운동을 ... 當量點)의 판정에 쓰이는 지시약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나 유사한 화합물이다
금속
지시약의 작용은 마치 중화적정 ... ...
바다와 친해 봅시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같은 염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염은 산과 염기의 반응 또는
금속
이 산 또는 염기와 반응해 생성되는 화합물로 물에 잘녹는다. 염중에서 물에 녹아 전기를 띠는 이온을 만들어 내는 것을 전해질이라고 한다. 1kg중에 녹아잇는 저체 염류의 양을 g수로 나타낸 값을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금속
판과, 합성수지 등으로 만든 패드로 구성돼 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패드가
금속
판을 양쪽에서 밀착해 감속·정지시킨다. 드럼방식은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바퀴와 함께 도는 둥근 연필통 모양의 드럼과 드럼 안쪽의 패드로 구성된다. 이 패드가 드럼을 밀어서 제동시키는 것이다.디스크나 ... ...
2. 전자기력이용 지구 중력 탈출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이 효과를 발명자의 이름을 따서 ‘허치슨효과’라고 부른다. 이때 물체는
금속
이든 비
금속
이든 관계 없이 떠오른다.놀라운 점은 이 장치가 중력장을 조절하는 것 외에 물체를 파괴하는 기능도 있다는 사실이다. 이때 파괴된 물체의 단면에서 전혀 다른 성분이 검출된다. 캐나다 토론토대학에서 ... ...
머리카락도 안보인다 첨단기술도 속수무책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다른 파장의 전자기파를 발산한다는 것에서 힌트를 얻었다.mm파 카메라로 실험한 결과,
금속
지뢰는 잘 보인 반면, 플라스틱지뢰는 잘 안보였다. 왜냐하면 mm파의 세계에서는 플라스틱이나 축축한 땅, 그리고 잔디가 모두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아직 이 카메라는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제공하지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것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종종 야간에 고속도로를 주행하다보면 트레드부분이 다 닳아
금속
성 벨트부분이 노출돼, 배트맨카처럼 불꽃을 튀며 가는 승용차를 가끔 본다. 이런 차가 보이면 아예 접근을 않는 것이 상책이다.수명이 다되지 않더라도 평균 8천-1만km 주행 후에는 타이어의 위치를 교환해 ... ...
대량생산 가능한 고분자 초전도체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되지 않지만 고온 고분자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한다. “다른
금속
을 넣으면 임계온도가 달라지는데, 이를 통해 개선하면 고온 고분자 초전도체도 기대할 수 있다” 고 설명했다.그러나 아직 숙제가 많이 남아 있다. 우선 고분자의 구조를 밝혀야 한다. 또 고온에서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이 발견되고 있다. 이리듐은 운석이 충돌하거나 화산이 폭발한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는
금속
이다. 또 K/T경계지층에서는 코사이트(cosite, 고압석영)가 보이는데 이것 역시 운석 충돌의 결과로 보인다.현재 이리듐과 코사이트는 공룡이 멸종될 당시의 환경을 증언해 주는 중요한 열쇠로 여겨지고 있다. ... ...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활자와 13세기 목재 활자를 거치면서 1403년에 이르러 마침내
금속
활자가 만들어졌다.
금속
활자만을 놓고 보면 중국이 서양보다 훨씬 빨랐던 셈이다. 그러나 활자 인쇄술은 중국에서 별로 사용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그 답은 예술성과 실용성 두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활자 인쇄본은 ... ...
수영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다시 두랄루민(duralumin)과 알루미늄이 새로운 재질로서 선호됐다. 10여년 이상의 '
금속
제 폴 전성시대' 는 유리섬유를 이용해서 개발한 폴을 사용한 선수가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입상하면서 그 막을 내렸다.60년대 이전까지의 최고 기록은 43년 미국 선수가 세운 4.79m였다. 그러나 유리섬유의 탁월한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