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임
가중
부담
맡은이
값
처리
유지
d라이브러리
"
담당
"(으)로 총 2,518건 검색되었습니다.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국가가 됐지만, 계속해서 인공위성을 개발하지는 않았다.인도의 우주기술개발을
담당
하고 있는 곳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다. 인도는 1969년 초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수립한 후 1975년과 1979년에 2개의 과학위성을 러시아의 힘을 빌려 발사했다. 그후 ISRO가 스리하리코타 발사장을 만들어 1979년 8월1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대한의학협회는 신경과 신경외과 마취과 및 뇌사판정 능력이 있는 전문의 2인과
담당
의사가 함께 판정하도록, 그리고 장기이식에 관여하는 의사는 참여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죽음을 판정하고 고지할 때 전통적으로 의학전문가의 의견이 존중돼 왔다.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표준이 일반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해 육상생태계를 유지시켜 주듯이, 수중환경에서 1차생산을
담당
해 수중생태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물은 빛이 있어야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탄수화물을 합성할 수 있다. 태양광선은 바다의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감소해 심해로 가면 결국 암흑의 세계가 ... ...
95 노벨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보였다. 그는 생기구화학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활성화시키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
했다.오존층이 파괴될 위기는 이미 1970년대초에 있었다. 바로 상업적 목적의 초음속 여객기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던 때다. 이 때 초음속 여객기가 성층권을 왕복하는 과정에서 질소산화물을 다량으로 ... ...
3 가격파괴의 허실-'최고의 기능에 최저의 가격'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채, 최고의 제품만을 구매하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양판점 판매
담당
자들은 최고의 기능에 최하의 가격을 제시하는 구매 희망자들의 문의 받을 때 가장 답답함을 느낀다고 입을 모은다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소재를 선호한다. 신체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
한 피부는 그 면적이 2㎡에 달하는 인체 최대의 감각기관이다. 피부에는 온냉감 접촉 압력 통증 등을 느끼는 감각 수용체들이 산재돼 있어 이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따뜻함 매끄러움 부드러움 등을 느끼게 된다. 이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경락(經絡)이라는 단어는 한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의 소문·영추를 비롯, 많은 고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인체의 생리적 기능 및 치료과정에 ... 기혈순환의 통로로서 인체 각 조직, 기관에 필요한 영양수송과 원할한 생체기능 유지를
담당
하는 매우 중요한 단위임에 틀림없다 ... ...
1 하드웨어-마음에 쏙드는 제품으로 뜯어 고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데이터를 읽어들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킨 다음 모니터에 그림을 그려 주는 역할을
담당
)에서 데이터를 액세스하기도 한다. 그런데 D램은 이 두가지 액세스가 불가능하다. 이에 반해 V램은 DAC가 화면에 그림을 그리는 동안 CPU나 액셀러레이터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없지 않다는 주장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이런 우려를 의식한 탓인지 프로젝트 기안을
담당
한 표준과학연구원측은 감성 시뮬레이터의 개발만큼이나 오감 및 평형 감각에 의한 감성의 심리적 생화학적 영향 파악이라든지 감성 디자인 지식 베이스 구축과 같은 기반 기술 확보에도 역점을 둘 ...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설립했다. 이 연구소에서는 분자나노테크놀러지 연구를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 공상과 현실드렉슬러는 91년 8월에 분자나노테크놀러지로 MIT에서 학위를 받았다. 92년에는 이에 관한 기술서적도 출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나로테크놀러지를 미래학의 범주로 취급할뿐 최근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