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3월 넷째 주 국내 마스크 총생산량(8352만 개)에 비해 6개월 만에 세 배나 증가했다.
문제
는 이 마스크를 버릴 때 생긴다.중국과학원과 호주 퀸즐랜드대 등 공동연구팀은 ‘종합환경과학’ 6월 16일자에 코로나19 방역에 사용되는 마스크 폐기물로 인해 바다와 강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증가한다는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
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일종의 공장 역할을 해요. 촉매 안으로 이산화탄소를 넣으면 연료로 바뀌어 나오는데,
문제
는 기체 이산화탄소의 운동성이 워낙 커서 촉매로부터 도망을 친다는 점이에요.그렇다고 이산화탄소를 액체로 만들면 운동성이 너무 떨어져 촉매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잘 들어가질 못하고요. 이게 현재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열렸다 닫히면서 조절돼요. 기공이 많이 열릴수록 수분이 많이 배출된답니다. 그런데
문제
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은 기공을 조금만 열어도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러면 기공으로 내보내는 수증기의 양도 감소하게 돼요. 증산작용은 더운 날, 바닥에 ... ...
[수학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수학 전공자라고?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고안했습니다. 기존 경매 방식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보유한 정보가 서로 달라 생기는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입찰 과정을 도입한 방식이죠. 경쟁자가 상대방의 입찰가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어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비효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상대의 반응을 고려해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가장 좋은 방법은 그걸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겁니다. 여러분도 관심 있는 주제나
문제
가 있으면 함께 나눠보는 경험을 해보세요. 설명하고 토론하는 습관도 길러보세요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집중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수학과 관련된 진로를 선택할 때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문제
를 해결하는 모든 순간에 수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그러니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수단으로만 수학을 대하기보다 좀 더 마음을 열고 수학을 즐기면 어떨까요 ... ...
[수학 기자의 책장] 만화로 보는 수학 개념의 새로운 모습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사칙연산의 비밀’에 맞게, 우치와 보윤은 숫자 세기와 사칙연산을 이용해 맞닥뜨린
문제
를 풀어나갑니다. 그래서 만화를 쭉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사칙연산의 개념은 물론 덧셈과 뺄셈을 여러 번 하면 각각 곱셈, 나눗셈과 같다는 사칙연산 사이의 관계까지 알 수 있습니다. 늘 정답 맞히기에만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런데 알아보니 이게 ‘진짜’였습니다. 성염색체 분리에
문제
가 생긴 ‘자웅모자이크’ 현상이라고 한다는데요. 나비, 거미는 물론 닭, 북부홍관조 등 조류에서도 자웅모자이크 현상이 발견된 적이 있답니다. 과연 아수라 백작의 염색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실험 과정에서 페놀이 휘발되더라도 충분히 환기한다면 별
문제
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렇더라도 피부에 닿았다면 바로 흐르는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준비가 다 되면 야광봉 속 물질을 모두 꺼내서 분리합니다. 플라스틱관의 윗부분을 자르면 그 안의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 다섯 가지 물질은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해서, 국내 심각한 미세먼지
문제
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24시간 내내 한 곳만 바라보는 정지궤도위성에 환경탑재체가 실린 건 전 세계 최초다. 상공 3만6000km에서 대기 정보를 담은 약한 빛을 인식할 장치와 기술이 그동안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