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호우가 내린다고 말할 수 있어요.기체나 액체에 열을 가하면, 열을 받아 에너지를 얻은 부분은 가벼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돼요. 그럼 위에 있던 차가운 분자들이 아래의 빈 공간으로 밀려 내려와요. 이렇게 열을 받은 분자들이 이동하며 전체에 열을 고루 전달하는 과정을 ‘대류’라고 해요.지구를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큰 뱀으로, 녹색 몸통에 흑색 점이나 짧은 가로 줄무늬가 꼬리까지 퍼져 있어요. 특히 목 부분에 붉거나 노란 화려한 무늬가 있어 ‘꽃뱀’이라고도 불린답니다.유혈목이에게는 ‘듀벨로이드 샘’과 ‘목덜미 샘’이라는 두 개의 독샘이 있어요. 눈과 위턱 사이에 있는 듀벨로이드 샘에서 만들어진 ...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혈관을 돌아다니는 로봇을 만들면 로봇에 약물을 실어 원하는 부분으로 보낼 수도 있고, 몸속에서 간단한 수술도 할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소형 로봇들은 크기와 모양이 고정되어 있어서 몸속에서 활동하기에 한계가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김민준 ...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망고 나무는 10~30m 정도 높이로 자라요. 꽃은 연한 붉은빛을 띤 흰색으로, 가지 끝 부분에 작은 꽃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달리지요. 열매는 5~10월에 익는데, 넓적한 타원 모양이에요. 길이는 3~25cm, 너비는 1~10cm로 다양하지요.잘 익은 망고는 껍질이 진한 노란색을 띠어요. 껍질 속 과육 역시 노란빛을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경우였지요.촬영된 영상을 통해 오심을 분석한 결과, 전체 오심 중 70건이 선 밖으로 공이나가는 ‘아웃’을 선언했을 때 발생했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누리와 마루는 기력이 없어 도망도 못갈 정도였고, 바다와 동백이는 그물에 주둥이 부분이 많이 쓸려 있는 상태였죠. 신고를 받고 달려간 부산 아쿠아리움 해양생물전시팀 양준호 치료사는 이들을 아쿠아리움으로 데려와 치료하기 시작했답니다. 그리고 건강이 회복 되는대로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보면 더 재미있는태권도 경기이번 리우올림픽 태권도 경기에서는 새롭게 바뀌는 부분이 많아요. 먼저 경기장이 4각에서 8각으로 바뀌고, 경기장 면적이 64m²에서 52.48m²으로 18%나 줄어들어요. 이 때문에 득점과 방어를 위해 선수들이 더 역동적으로 움직여야만 하지요.게다가 몸통 회전 공격은 3점,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몬테고베이 등에는 밤에 푸른 빛을 내는 바닷물이 있어요. 특히 밀려오는 파도의 끝부분은 바닷물 속에 별이라도 있는 것처럼 반짝이지요.물 속에서 반짝이는 건 사실 별이 아니라 플랑크톤이에요. 플랑크톤 중에서도 ‘링굴로디니움 폴리드럼(Lingulodinium polyedrum)’을 포함한 *쌍편모조류지요. ... ...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자전 방향에 수직으로, 커다란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지요. 타원 궤도의 중앙이 아닌 끝부분에 목성이 있답니다. 이런 궤도 덕분에 14일에 한 바퀴씩 목성을 돌 때 주노가 목성에 근접하는 시간은 채 2시간이 되지 않아요. 이로써 목성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통해 초식동물들의 독특한 소화기관에 대해서도 쉽게 배울 수 있었어요. 초식동물들은 대부분 장에 있는 미생물을 이용해 식물 속에 있는 식이섬유소를 소화하기 때문에 장이 무척 크고 길답니다.목이 기다란 기린 표본을 자세히 보며 목뼈의 개수도 세어봤어요. 기린의 목뼈는 몇 개일까요? 정답은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