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높은 마이크로파 빔을 뇌의 한 부위에 집중시키면 그 때 생겨나는 에너지가 신경
세포
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네덜란드 그로닝겐대의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뇌자극 방법이 언젠가는 뇌에 바늘을 찔러 넣는 방식을 대신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 빔을 ... ...
Part1. 뇌 vs 컴퓨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많이 다르다. 속도로 보면 컴퓨터가 압도적이다. 하지만 뇌는 복잡하고 다양한 뉴런(신경
세포
)의 연결로 느린 속도를 극복한다. 덕분에 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드웨어 측면에서 뇌와 컴퓨터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농도 차이로
세포
막은 -70mV의 전압 차이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면
세포
막에 붙어 있는 이온채널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먹잇감에게 들키지 않을 만큼 조용히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고양이는 발바닥에 신경
세포
가 많이 몰려 있어 예민하며, 온몸에서 유일하게 땀샘이 분포한다.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길에서 다른 동물들은 넘어지기가 쉽지만 고양이는 예민한 발바닥을 밀착해 안정한 자세로 걷는다. 고양이는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볼 때 활성이 더 좋기 때문에 ‘피터 래빗
세포
’로 부르기도 한다. 코흐 교수팀은 이
세포
가 자극을 받으면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다는 사실도 추가로 발견했다. 코흐 박사는 사람이 오랫동안 동물과 함께 살며 특정 동물에 반응하도록 잘 분화된 뇌를 갖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출근하거나 온라인 뉴스를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분비돼 뇌
세포
를 감싸는 지방질인 미엘린을 파괴한다. 미엘린 덮개가 파괴되면 뉴런 사이의 신호전달 속도가 떨어지며 아이디어가 번개처럼 번뜩이는 순간을 느끼기 힘들다. 학술지 ‘심리과학’에 나온 최근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듯이 폴을 보며 말했다.“오히려 그 반대 아니야? 예전에는 머리를 너무 안 써서 뇌
세포
가 다 퇴화했겠다. 지금은 머리를 자꾸 써서 뇌 신경이 살아나고 있을걸?”“그냥 말이 그렇다는 거지. 뭘 그렇게 따지냐?”폴과 폴리스가 아웅다웅 하며 식사를 마칠 때쯤 모일러가 다시 식당으로 들어오며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내시경을 집어 넣어 위에서 시료 두 개를 채취했다.관찰 결과, 위점막에 있는 상피
세포
들이 모조리 손상되어 점액층에 백혈구들이 몰려있었다. 위염에 걸린 것이다.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그는 시료에서 얻은 균을 분리해 배지에서 배양했다. 열흘 전 자신이 삼킨 것과 같은 균이었다. 마셜은 이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
세포
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희박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람들이 기존 생물학자들과 힘을 합칠 때 연구의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세포
가 들어 있는 랩온어칩이 몸속을 모사하는 것이라면 게코 발바닥이나 풍뎅이 날개를 흉내내는 건 외형을 모사하는 것이죠. 두 길은 결국 하나로 합쳐질 것입니다.” 현재 서 교수의 실험실은 대학원생 20여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