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달콤한 유혹, 단맛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탄수화물이 소화되어 단당류가 된다. 갈락토오스(당도 0.6)달팽이 점액이나 세균의
세포
벽, 한천에 들어있다. 포도당(당도 0.7)포도에 많다고 해서 포도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과일과 식물에 들어있으며 우리 몸이 에너지를 낼 때 쓴다. 과당(당도 1.4~1.7)과일과 꿀에 들어있다. 음료나 아이스크림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농도 차이로
세포
막은 -70mV의 전압 차이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면
세포
막에 붙어 있는 이온채널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내시경을 집어 넣어 위에서 시료 두 개를 채취했다.관찰 결과, 위점막에 있는 상피
세포
들이 모조리 손상되어 점액층에 백혈구들이 몰려있었다. 위염에 걸린 것이다.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그는 시료에서 얻은 균을 분리해 배지에서 배양했다. 열흘 전 자신이 삼킨 것과 같은 균이었다. 마셜은 이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에피네프린이 나와 간에 있는 글리코겐을 부숴 에너지를 만든다. 이 에너지를 지방
세포
를 분해하는 데 이용한다.그렐린2008년 영국 럽버러대 데이비드 스텐슬 교수팀은 운동을 하면 그렐린(활성 그렐린) 수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그렐린은 위에서 분비돼 뇌로가 식욕을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
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난자나 배아를 이용하지 않고 체
세포
에 역분화를 일으킨 유도 다능성 줄기
세포
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므로 머지 않아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난치병도 극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블루 브레인도 IBM의 블루진 슈퍼컴퓨터를 이용한다. 마크람 박사는 사람의 뇌를
세포
하나씩 만들어나가는 방법으로 슈퍼컴퓨터 안에 인공 뇌를 가상으로 구현할 계획이다.연구를 시작한 2005년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뉴런 하나를 만들었다. 수상돌기에서 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뉴런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먹잇감에게 들키지 않을 만큼 조용히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고양이는 발바닥에 신경
세포
가 많이 몰려 있어 예민하며, 온몸에서 유일하게 땀샘이 분포한다.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길에서 다른 동물들은 넘어지기가 쉽지만 고양이는 예민한 발바닥을 밀착해 안정한 자세로 걷는다. 고양이는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
세포
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희박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 ...
암
세포
만 골라 죽이는 DNA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는 혼합물에 넣었다. 실험 결과, DNA로봇은 백혈병
세포
를 발견하고 항체를 풀어 백혈병
세포
의 성장을 중지시켰다. 하지만 DNA로 만든 구조물이기 때문에 뉴클레아제에 의해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아이도 배철렛 박사는 “DNA로봇에 폴리에틸렌글리콜 같은 물질을 코팅하면 이 점을 보완할 수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볼 때 활성이 더 좋기 때문에 ‘피터 래빗
세포
’로 부르기도 한다. 코흐 교수팀은 이
세포
가 자극을 받으면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다는 사실도 추가로 발견했다. 코흐 박사는 사람이 오랫동안 동물과 함께 살며 특정 동물에 반응하도록 잘 분화된 뇌를 갖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