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폭풍 발생
장치
(위)’라는 이 설비는 적진을 휩쓸기 위한 허리케인을 제조하는
장치
같다. 그리고 ‘미세 폭동유도기(왼쪽)’는 노란색 유리에서 음파가 나와 사람들의 마음을 흥분시킬 것 같다. 작가는 냉전의 종식과 더불어 핵전쟁과 첩보전의 위협은 줄어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이제는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선체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이를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열 방호
장치
도 필요하다. 현재 궤도용 우주비행선으로는 미국의 우주왕복선과 러시아의 소유즈, 중국의 선저우가 있다. 소유즈 우주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갈 때 남는 좌석을 이용해 300억~400억 원의 여행비를 받고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발전기 수소 폭발 과정❶ 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원자력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장치
가 고장.❷ 발전기의 뜨거운 온도를 식혀 주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 작동 중지.❸ 900~1000℃에 이르는 뜨거운 온도로 냉각수가 증발해 핵 연료봉(4호기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이 공기 중에 노출.❹ 핵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뇌 과학자들은 뇌세포 내에서 바로 신호를 꺼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기계 연결
장치
(BMI)라고 부르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뇌 속에 전극을 꽂아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 속의 산소량을 읽는 방식도 개발됐다. 외골격 로봇 ... ...
생명과학 - 암과 첨단 영상진단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1000만 건의 암이 진단될 정도로 현대인은 암의 공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 호에서는 암의 특징과 돌연변이에 의한 암의 발병 기작, 그리고 암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첨단 영상진단
장치
에 대해 살펴보자.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구에 불이 반짝반짝 들어온단다. 원래 스피커는 전기를 소리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야. 하지만 반대로 소리에너지가 스피커를 진동시키면 전기가 만들어진단다. 비밀 셋 목소리에 감정이 있다?똑같은 엄마의 목소리지만 듣기 싫은 잔소리도 있고, 듣기 좋은 자장가도 있어. 그 이유는 바로 목소리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보처리과정을 이해하려고 연구하고 있다. 또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정보처리
장치
를 개발하고, 정보처리 문제로 발생하는 뇌질환을 진단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신경세포 연결지도만으로는 뇌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고속도로의 모양까지는 알 수 있지만 그 위를 달리는 차가 어떤 ... ...
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김한겸 교수팀은 영상의학과 용환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다채널컴퓨터단층촬영 (MD-CT)
장치
로 촬영한 오산 미라 두 구를 3차원 영상으로 만들어 과학동아에 공개했다. 왼쪽 두 장은 첫 번째 부인, 오른쪽 두 장은 두 번째 부인의 모습이다. 연구팀은 이 영상으로 미라의 사망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각하지 않는다. 프로그램 속 경쟁을 참가자가 자기실현과 자아발견을 위해 필요한
장치
였다고 이해하기 때문이다.실제로 사람들은 돈으로 얻는 행복보다 경험과 같이 기억에 남는 행복에 더 가치를 느낀다. 미국 일리노이대 에드 디너 교수팀이 2005부터 2년간 132개국 13만 6000명에게 전화를 걸어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부분을 자극해야 하는지도 정해야 한다. 지금 쓰는 TMS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
장치
(MRI)로 환자의 뇌 영상을 찍어 어디에 코일을 대야 하는지 결정한다. 그러나 tDCS는 이런 기술이 없다. 지금은 대상 부위 인근에 전류를 흘리는 수준이라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 머리에 화상과 근육경련을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