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전파 신호도 화성에서 지구까지 오는 데 13분 48초가 걸린다. 하루에 200m씩 680여 일간 총 20km를 돌아다닐 큐리오시티는 이 시간차를 극복하며, 때로는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고 안전한 길을 찾아 주행해야 한다. 이런 것이 바로 로봇의 특징이다.윌콕스는 시간 지연 문제와 관련해 흥미로운 해결책을 ...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이름은 헤라르뒤스 메르카토르. 누구냐고? 이름은 처음 들을지 몰라도 이 세계지도. 총 18장의 지도로 돼 있으며, 이 사진은 18장을 모두 합친 모습이다. 사람이 세상에 남긴 흔적을 못 봤을 리는 없다. 세계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서 한 번쯤은 눈여겨보게 마련인 ‘지도’가 바로 메르카토르의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거리’라고 해! 유클리드 거리로 계산하면 MBC 문화방송부터 국회의사당의 거리는 총 3km야. 어때? 정확하지? 홍철아, 이번 MC는 내가 맡는다아~!음…. 이게 MBC 문화방송국에서 국회의사당까지 직선의 거리를 재는 거라면 문제가 너무 쉽잖아? 뭔가 다른 게 있을 거야! 옳지! ‘차량으로 이동할 때의 최단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때 마다 $n$²개씩 더해 구하면 된다.케플러의 추측17세기 조선에서는 물건을 쌓아 물건의 총 개수를 구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면, 서양에서는 물건 사이의 빈 공간을 가능한 적게 만들어 물건을 쌓는 방법을 연구했다. 17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일정한 공간에 대포알을 가장 많이 ...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따라서 지나간 달 수를 $n$이라고 하면 뱀파이어 수는 2ⁿ이 됩니다.그런데 당시 세계 총 인구수가 5억 3천 687만 911명이었으므로, 2년 6개월 만에 사람은 모두 뱀파이어가 됐을 겁니다. 즉 뱀파이어가 있다면 인류는 진작 멸망했을 거라는 결론이 나오지요. 따라서 뱀파이어는 없습니다. 뱀파이어는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암석에 피어오른 불꽃을 촬영한 뒤 빛의 파장을 분석.운용 기간 1화성년(687일) 이상. 총 이동 가능 거리 최대 20km. 참고로 스피릿·오퍼튜니티는 발사 당시 임무 기간은 3개월. 하루 이동 거리는 1.6km였음. 4.8kg의 플루토늄-238을 원료로 하루 2700Wh의 전력을 생산하는 덕분에 가능함. 스피릿에 쓰인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못했을까. 미국 UCLA 생리학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1997년 풀리처상을 받은 명저 ‘총, 균, 쇠’에서 얼룩말을 길들일 시도를 하지 않은 게 아니라 길들이는 데 실패했다고 설명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말은 성공하고 얼룩말은 실패한 현상을 ‘안나 카레니나 법칙’이라고 불렀다.[제주도 ... ...
- 동아리 활동으로 리더십, 학습, 봉사까지 OK!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한 분은 생활기록부, 제출 자료에 대한 질문을, 다른 한 분은 리더십에 관한 질문을 했다. 총 7분 정도 걸린 면접이었다. “공통 질문은 ‘리더는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였어요. 저는 둘 중 하나에 편중될 수 없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어요. ‘공과 사를 구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죠.” ... ...
- 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러한 해류 소용돌이는 북태평양, 남태평양, 북대서양, 남대서양, 인도양 등 총 다섯 지역에 있다. 그러니 또 다른 쓰레기 섬을 발견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실제로 해류의 속도가 느려 ‘죽음의 바다’라고 불리는 대서양 사르가소 지역에서도 쓰레기 섬이 발견됐다.쓰레기 섬의 90%는 플라스틱이다. ... ...
- 즐겁게 수학을 배우는 제3회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열려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만든 국내 최초 기능성 수학게임이다. ‘조마조마 사칙 폭탄’, ‘요리조리 바나나’ 등 총 다섯 가지 게임을 통해 수의 개념, 사칙연산, 도형 등을 재밌게 배울 수 있다.국립과천과학관 최은철 관장은 “온라인수학게임을 일반인을 비롯해, 도서산간벽지와 소외계층을 위한 공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