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냉동기를 희석냉동기라 부른다.증발냉동의
한계
인 mK보다 낮은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자기냉동이 이용된다. 증발냉동으로 낮출 수 있는 온도까지 내린 후 외부에서 강한 자기장을 걸어준다. 이를 통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의 자기적 성질을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시켜야 한다. “사인, 코사인만 배워서 그런지 문과 출신 친구들이 잘 쓰는 것을 볼 때
한계
를 느낀다”는 말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요즘 글을 잘 쓰는 과학기술인으로, 김영환 과학기술부 장관과 서울대 생물학과 최재천 교수가 꼽힌다. ‘방귀에 불이 붙을까요?’란 동시집을 최근 펴낸 김장관은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쓰인다. 하지만 현재까지 티타늄 합금을 소재로 한 내열재료는 6백˚C 이상의 온도에서는
한계
가 있다.대부분의 엔진 재료로는 초내열 합금(superalloy)이 사용돼 왔다. 대표적인 초내열 합금은 니켈 합금이다. 티타늄 합금에 비해 무겁지만 최고 1천˚C 정도까지 사용 가능하다. 전투기의 경우 전체 무게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아니라, 앞으로 빨리 가려 할수록 저항은 더 커진다. 그래서 사이클선수는 인체의
한계
로 국한되는 파워를 키워야 할뿐만 아니라 자신의 몸을 유선형으로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일반 핸들과 달리 앞바퀴 쪽에 더 가까운 드롭바(drop bars)를 이용해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웅크리는 것이다. 같은 이유 ... ...
감정 표현하는 휴먼로봇 아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컴퓨터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사실성이 결여돼 있다. 양교수의 연구실은 이런
한계
를 뛰어넘기 위해 실제 환경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활용하는 가상환경을 실제 환경 속으로 끌어들여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박사과정 학생이 많은 편연구실에서 최근 새로 시작한 분야는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얘기하는 과학자도 있다. 현재 반도체칩은 선폭이 1백nm보다 가늘어지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
를 맞고 있다. 나노기술은 바로 이 점을 해결해줄 차세대 기술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즉 지금보다 더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요소들을 집어넣을 수 있느냐가 나노기술의 관심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MEMS는 이미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메모리의
한계
로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로딩할 수 없듯, 스마트카드의 메모리
한계
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릿을 모두 로딩할 수는 없다. 돈의 흐름과 출처 파악이 문제이처럼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의 이면에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사안이 있다. 바로 보안 문제다.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화성의 지형은 매우 거칠며 지구에서처럼 편안하게 다닐 만한 어떤 도로도 없다. 이런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화성의 대기와 바람을 이용할 예정이다. 그 중 하나가 2층 높이의 비치볼 같은 모양으로 부풀어오르는 풍선형 탐사선이 연구중에 있다. 이 탐사선은 바람에 따라 사방을 돌아다니는 특성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0.15㎛(1㎛=${10}^{-6}$m) 정도에 머문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기술이 갖고 있는 크기의
한계
를 나노기술은 획기적으로 뛰어넘는다.양자역학의 세계 펼쳐진다 현재 차세대 초소형 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로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포함한 다국적이다. 또한 HGP는시작과끝이분명하고일의포화점이명확하다. 이에비해HPP는
한계
가 매우 넓고 깊으며 데이터의 양은 이론적으로 게놈의 1천배 이상(추정치)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포화점이나 완결시점을 예측할 수 없는 막대한 작업량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HGP가 예상보다 빨리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