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뉴스
"
영화
"(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제공 진짜 의복처럼 구부리고 접고 펄럭이는
영화
속 ‘입는 컴퓨터’를 현실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최경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KIST 제공 입체안경을 낀 사람이 손을 들어 허공을 툭툭 찌르자 화면 속에 쌓여 있는 나무토막 하나가 밀려 떨어졌다. 곧이어 화면 속에 있는 다른 사람도 막대를 하나 밀어냈다. 일명 ‘가상현실 젠가’ 게임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가상현실에 접속해 게임을 즐기는 중이다. 박정민 한국 ... ...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영화
‘터미네이터: 제니시스’에 등장하는 터미네이터 T-3000. 인간보다 뛰어난 초지능을 보유하고 인간을 위협한다. -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 기술로 만든 무기는 미래의 ‘칼라시니코프(러시아제 소총 AK47)’가 될 것입니다.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AI 무기 ... ...
티라노사우루스가 육식 즐기는 이유, 알고 보니…
2015.07.28
공룡인 고르고사우루스가 다른 공룡을 잡아 먹는 상상도. - 다니엘 듀폴트 제공
영화
‘쥬라기 공원’의 주인공인 거대공룡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다른 공룡을 잡아먹을 때 고기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하는 데 이빨이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키얼스틴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위해 촬영에 각별히 신경을 쓴다”고 말했다. 한 예로 그는 촬영을 할 때 마치
영화
를 촬영하는 것처럼 카메라의 심도를 낮춘다. 심도를 낮추면 피사체가 입체적으로 보일뿐 아니라, 주변 배경이 살짝 흐릿하게 보이면서 화면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뉴스나 일반 방송프로그램을 ... ...
PART 02. 무서운 공포
영화
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막을 내려야 했다. 시대를 풍미했던 호러퀸과, 아쉽게도 흥행에 실패했던 공포
영화
여주인공들의 목소리를 분석해봤다. 분석 결과, 호러퀸들의 평균적인 고음 세기는 73.636dB이었고 흥행에 실패한 여배우들의 평균은 60.761dB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고음에서 음성에 실리는 힘의 세기가 호러퀸이 더 ... ...
‘웨딩드레스’ 입은 신부날개매미충
2015.07.26
중화반응을 통해 김치찌개의 신맛을 잡는 법을 알려주는 식이다. ‘케미’란 드라마나
영화
속 남녀 주인공이 실제로도 조화롭게 잘 어울릴 때 사용하는 신조어로 화학 반응을 의미하는 케미스트리(chemistry)의 줄임말이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친밀한 화학을 교과서 속 이론이 아니라 실험을 통해 ... ...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아닌 모양이다. 책장을 몇 장 넘기지 않아 ‘매트릭스’ ‘써로게이트’ 등의 헐리우드
영화
를 예로 들며 탄식하는 저자를 만날 수 있었다. 미국 드라마 ‘하우스’에서는 의식불명에 빠진 환자에게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모자를 씌우고, 환자가 ‘예’를 생각하면 마우스 커서가 위로 움직이고 ... ...
과거 떠오르게 하는 ‘마들렌’ 같은
영화
2015.07.19
2살을 더 먹은 할머니 공룡이 됐다. - 동아일보DB 제공 현재의
영화
쥬라기 월드는 추억의
영화
쥬라기 공원만큼 강렬하진 않았다. 티렉스가 으르렁거리는 소리에 두 눈 질끈 감았던 그 시절과 달리 티렉스도 어느덧 ‘이빨 빠진 호랑이’가 돼버렸다. 끈질기게 주인공들을 궁지에 몰아넣던 랩터들도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16일 자에 발표했다. 데이비드 포펠 뉴욕대 언어처리실험실 교수팀은 유명 공포
영화
와 유튜브에 올라온 공포 동영상 등에서 비명만 추출해 분석한 결과 비명이 다른 사람 귀에 잘 들리는 이유가 진동수 때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비명은 진동수의 변화가 커 청자에게도 더 잘 전달된다. -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