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병
뉴스
"
중증
"(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AI 산업 확대하고 전국 지상지하 3D 지도 구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닥터앤서 2.0 사업도 추진된다. 이는 치매 등 8개
중증
질환 별 AI 진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닥터앤서 1.0의 후속 사업이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가속화 도로와 철도, 공항 등 기반시설에 AI와 디지털 기술 기반의 관리체계를 도입하는 사업도 ... ...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이르면 9월부터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수입특례를 통해 국내 도입된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는 14일 기준 42명의
중증
이상 환자에게 투약됐다.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2021년 말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고 대량생산이 시작되는 것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중이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백신 개발은 여러 가지 변수가 많아 섣불리 ... ...
"코로나19 환자
중증
도 예측 지표는 공복혈당'
연합뉴스
l
2020.07.14
일이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입원 때 공복 혈당을 측정하고 이것이 향후 28일 동안
중증
도 그리고 사망 위험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환자들은 평균연령이 59세이고 208명(34%)이 한 가지 이상의 기저질환이 있었으나 당뇨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없었다. 이들 중 114명이 사망했다. 공복 ... ...
"코로나19, 몸 전체 크고 작은 혈관 막아"
연합뉴스
l
2020.07.13
메디컬센터에서는 항응고제의 적정 투여 용량과 투여 시기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중증
코로나19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이클리니컬 메디신'(EClinicla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벌어지는지 상세히 연구해 향후 치료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환자 맞춤 항염증 약물 사용에 관한 연구를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 환자 코로나19 감염 위험 더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앓는 노년층에서 ACE2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매 초기, 경증,
중증
환자그룹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치매가 진행될수록 ACE2 유전자 발현이 각각 135%, 148%, 164%로 증가했다. 치매 환자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더 큰 셈이다. 연구진은 “노년층에서 치명률이 높은 코로나19 ... ...
카자흐스탄 정체불명 폐렴 확산세…WHO "검사 안받은 코로나19 환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7.12
입원한 환자들이기 때문에 일단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게 중요하고 어느 정도
중증
이 있는 환자들은 입국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입국자 중 이런 환자가 발생하는지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개발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 2002년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로 인해 발병한 사스(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MERS-CoV)로 인해 발병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백신이 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이유다. 2019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라는 ... ...
정은경 "카자흐스탄 원인 불명 폐렴 감시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말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또 “리노바이러스나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세균성
중증
급성 호흡기 감염증 환자가 보고되고 있어서 국내에서도 감시체계는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의 공기 감염 가능성을 인정한 가운데 방역 당국은 밀접 접촉과 ... ...
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는…폐 생리·면역기능 차이
연합뉴스
l
2020.07.10
적은 이유로 들었다. 어린이 몸에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T세포가 어른보다 많아
중증
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이다. 공동연구자인 해리 카무티-퀸타나 박사는 "인체에는 바이러스에 대응하고 면역을 조절하는 T세포가 많고 코로나19 중환자에서는 T세포가 감소해 항바이러스 능력이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