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존재
인생
실존
서바이벌
잔존
존속
생계
d라이브러리
"
생존
"(으)로 총 2,057건 검색되었습니다.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연구를 행한 바 있는 경북대의 김화식 탁연빈교수의 연구논문에 의하면 20년전 국내
생존
삽사리는 50마리 정도였다고 한다. 두 교수는 이들중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30마리를 수집, 전염병에 대한 저항성, 체형과 성품에 대한 연구를 행했다.이때 수집된 30마리의 삽사리는 ... ...
방추체의 다이나믹한 성질 밝혀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염색체를 정확하게 둘로 가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딸세포(둘로 나뉜 후의 세포)의
생존
과 생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이 일은 '어떻게' 하느냐를 밝히는 일은 생물학자들의 오랜 과제였는데, 1백여년 전에 방추모양의 실(絲)을 찾아냄으로써 풀렸다.그러나 그동안 이 방추체의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벗어나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의 전환이었다. 그래서 우리의 기업들은 국제경쟁에서
생존
하려면 기술능력배양에 의한 자체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인식하게 되고 기술개발노력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했다.세계 반도체시장의 5% 점유80년대초 이래의 기업의 적극적인 기술개발노력의 결실은 8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환경을 향하여 도피하거나, 아니면 주어진 환경에 대한 내성(耐性)을 획득함으로써
생존
하고 또 번영하여 왔다. 적극적으로 도피하는 방법을 갖지 못하는 식물들은 생육하는 환경에의 적응이라는 후자의 방법에 의존하여 왔던 것이다. 특히 식물의 경우, 내성의 획득이 질적인 변화로 나타날 때에는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쓰인 곳은 인구동역학분야였다. 가령 '육식동물과 초식동물이 상호연관 속에서 어떻게
생존
하는가'라는 연구이다. 컴퓨터는 몇분 동안 이들 동물들의 수십세대에 걸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비슷한 방법으로 전염병이나 에이즈(AIDS)의 확산효과를 연구하기도 한다.기상예측은 컴퓨터가 ... ...
PARTⅢ 리액터 REACT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에서 세포를 키운 후 외부(또는 내부)에 연속적으로 영양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세포의
생존
과 함께 우리가 원하는 생산 목적물을 분비하도록 하는 것이 원리이다. 바이오토피아를 이끌어생체세포, 특히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발효기술은 전통적으로 술 간장 식초 요구르트 등 공업적 발효로부터 ... ...
여드름 손톱으로 짜면 더욱 나빠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성호르몬에 있을 경우에는 원인요법을 행하기 어렵다. 성호르몬을 제거하면 사람은
생존
할 수 없게 되므로 발생되어 있는 여드름만 치료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수개월은 치료받아야 한다. 치료 후에도 40대까지는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호르몬에 기인한 여드름 치료는 대증요법일 ... ...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돌멩이까지 귀중히 생각하며 여러가지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남극대륙에서 인류의
생존
에 보다 중요한 관련이 있는 것은 오존구멍의 확대와 빙대(氷帶·ice sheet)의 움직임이다.남극의 빙대는 크게 동부빙대와 서부빙대로 나누어지는데 동부빙대는 땅과 붙어 있어 거의 부동이지만 서부빙대는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익룡과 시조새가 동시에 함께
생존
했음은 뿌리가 서로 다른 인간과 원숭이가 함께
생존
하고 있음과도 같다.익룡은 박쥐날개와 약간 비슷한 날개를 가져 나는 능력은 시조새보다 우수했으며 큰 것은 한쪽 날개의 길이가 7m에 달했다. 이들은 주로 물고기를 먹이로 했으며 백악기 후기 공룡절멸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일부 보호론자들 사이에서는 이같은 방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검정코뿔소의 뿔은
생존
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뿔의 제거는 이 동물의 생명유지에 치명적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짐바브웨의 야생동물보호기금 재단책임자인 '데이비드 커밍'씨는 "검정코뿔소의 뿔은 관목의 잎을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