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여러 개의 sgRNA를 제조한다. sgRNA는 스파이크, 외피와 같은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을 합성하고, 이것들이 복제된 gRNA를 감싸며 숙주세포 안에서 새로운 바이러스를 조립한다. RNA 연구단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최소 9종류의 sgRNA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기존에는 10종류로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10만원과 상패박혜림(23세) ‘예비교사가 리뷰 하는 과학도서’라는 제목으로 여러 도서 리뷰박서연(9세)·박하연(8세) ‘괴짜 과학자들의 기상천외한 죽음 실험실’ 리뷰이동규(28세) ‘더 위험한 과학책’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여름 하면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땀이 흐르는 무더위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즐거운 방학과 휴가가 있어 설레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올해는 코로나19로 ... 수학과 상관 없이 인생에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다는 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길 바라요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7년에 미국 FDA, 2018년에는 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 중이다.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여러 질병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여전히 암과 다수의 난치성 질병들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는 가운데, 인간을 갉아먹는 악으로만 여겨졌던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먼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 표면에 발현된 MHCⅡ와 T림프구가 결합하면 면역과 관계된 여러 신호를 내보낼 뿐만 아니라, T림프구는 B림프구의 활성을 돕는 도움 T림프구가 된다. 이 도움 T림프구가 수지상세포와 함께 바이러스 C가 침입한 부위의 주변 림프 기관에 있는 비활성 B림프구를 활성화하면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종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거야. 이런 현상을 ‘머드플레이션’이라고 해. 여러 명이 참여하는 온라인 게임인 ‘머드(MUD) 게임’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로, 게임 세계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현상을 의미하지. 이런 인플레이션 현상을 잡지 못하면 게임의 수명은 짧아져. 좋은 아이템이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리고 무엇보다 그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회피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이처럼 바이러스는 숙주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삶을 산다. 이는 숙주에 침투해 증식할 수만 있다면, 숙주가 어느 환경에 살든 바이러스 또한 그곳에서 살 수 있다는 뜻이기도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가 분화한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T림프구나 B림프구와 동일 계통에 속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행동은 딴판이었다. 이후 여러 연구를 거쳐 이 세포의 정체는 림프계 전구세포에서 분화한 자연살해세포로 밝혀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간이나 골수, 림프절, 비장, 편도선, 흉선에서 성숙해 혈관을 순환하며, 림프구 중에서는 가장 크다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니피그의 MHC를 발견했다. 스넬과 마찬가지로 유전적으로 비슷한 기니피그를 여러 계통으로 만들고, 합성된 항원을 기니피그에 주입하며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관찰했다. 도움 T림프구는 MHC와 상호작용해 외부 물질을 구분했다. 이 실험을 통해 베나세라프는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결정하는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