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12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2월 19일(현지시각) 폐막했다. 회의에 참석한 193개국 ... 감축안은 2010년 말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열릴 제16차 총회에서나 윤곽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파수꾼 역할이라 해서 주위 자극을 감시하고
예상
되는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이다. 다른 가설은 방대한 자극에서 해방된 ‘자유롭게 생각이 일어나는 상태’라고 보는 입장인데, 이는 마음의 방황(mind wondering) 또는 백일몽 상태로 여겨진다. 두 번째 가설은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높이 쌓는 것 같은 구조적인 해결책에서 하천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피해가
예상
될 때는 주민들을 최대한 빨리 대피시키는 비구조적인 대응책으로 방향이 바뀌고 있습니다.”최근 하천에 관련된 토목공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스마트 리버에 주목하는 이유다. ‘스마트 리버(smart river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전력을 따진다. 각 나라와의 경기 결과가 어떻게 될지, 최종 우승국은 어디가 될지를
예상
하는 것도 관중의 즐거움이다.살다 보면 “어떤 경우가 가장 좋을까?”라는 판단을 해야 할 때가 많다. 판단을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경우가 있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무작정 떠오르는대로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문과 수백만 개의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을 거쳐야만 했다.
예상
되다시피 이 일은 수많은 인력이 필요한 매우 고통스러운 작업이었다. 그러다 보니 일치하는 지문을 발견했을 때는 어쩌면 자기 자신도 모르게 “찾았어!”라는 말이 튀어나왔을런지도 모른다.그러나 AFIS가 ... ...
늦더위와 방학 숙제를 한 번에! 과학실험 BIG. 3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어떤 내용을 써야 하나요?실험의 결과가 실험 전에
예상
이 가능한 내용이었다면 그
예상
을 꼭 쓰세요. 그리고 실험이 끝나면 내 생각과 맞는지 비교해 보고, 만약 맞지 않으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생각해 글로 정리하세요. 또한 실험을 그래프나 도표를 사용해서 다른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파괴되고 지구 온난화로 날씨가 들쭉날쭉해져 유일하게 알을 낳을 수 있는 장마철도
예상
할 수 없게 됐거든. 실제로 맹꽁이는 이제 멸종위기 2급 종이 되었어.점점 사라지고 있는 맹꽁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는 것이 가장 먼저일 거야.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시작되기도 전에 이른 더위가 찾아왔어요. 어느 날에는
예상
치 못한 게릴라성 호우가 내리기도 하고요. 언젠가부터 심심찮게 들려오는 가뭄과 큰 홍수, 슈퍼 태풍, 녹아내리는 빙하 이야기는 일상이 되어 버렸지요. 우리가 살고 있는 푸른 행성 지구는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명예기자 나연이와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약물의 거울상 분자는 구조가 원래 표적단백질에 달라붙게 설계된 약물과 다르기 때문에
예상
치 못한 다른 단백질에 붙을 수 있다. 1960년대 초 1만여 명의 기형아 출산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입덧 방지제 탈리도마이드가 이런 대표적인 예다. 탈리도마이드는 거울분자 가운데 하나만이 약효를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더 무거울 것이라고 생각해 큰 물체를 들 때 애초에 어깨에 힘을 더 주기 때문이라
예상
할 뿐이다. 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사람들은 작은 것보다 큰 것을 들 때 애초부터 더 많은 힘을 준다는 게 밝혀졌다.하지만 이 실험을 반복할 경우는 달랐다.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두 개에 동일한 힘을 줬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