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다. TV의 어떤 프로에서 이것을 검토하지 않고 대대적으로 방송한 적이 있어 그 잘못을
지적
했으나 아직 정정 방송이 나오지 않고 있다.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란 한자의 훈(訓) 그대로 '세 가지에 잎이 아홉 개 달린 풀'이란 뜻이다. 그러나 세 가지에 아홉 개의 잎을 단 풀은 없고, 잎자루(葉柄)를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리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 속에서 배우며 자연의 혜택을 받고 있는 보잘것 없는
지적
동물임에 불과할 뿐이다.1세기의 비행기 역사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이 수백m의 공중활주에 처음으로 성공한 것은 1891년. 그러나 그는 1896년에 공중비행을 시도하다가 48세의 젊은 나이로 뜻밖의 치명적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일은 아무리 '인류과학의 발전'을 내세운다 해도 윤리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결국 아인슈타인의 두뇌는 앞으로도 '미완의 연구과제'로 남아있을 듯하다. 어찌됐건 살아서나 죽어서나 이토록 화제를 불러모으는 아인슈타인이 20세기의 '스타'임에는 분명한 ... ...
왜 겨울달이 여름달보다 길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기회가 있으면 다시 소개하기로 하고 몇 마디 더 첨언고자 한다.이 글의 첫 머리에
지적
한 것처럼 음력을 정식으로 국가에서 수용하려면 정부가 음력의 정확한 제정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인 음력 폐지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한 나라에서 두 개의 역을 ... ...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VR 오락기가 있다면 그것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과학자인 안드레 바카드의
지적
에 의하면 이들 '대리 인생'의 재미에 몰입된 사람은 잘되면 사회적 감각이 없는 사람, 최악의 경우에는 반사회적인 인간이 된다고 한다.이야기꾼의 이야기에 넋이 나간 구석기시대 사람들, 또는 TV나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아직까지는 버티고 있지만 이런 경우를 그는 '관료주의적 행정의 대표적 케이스'라고
지적
한다.그의 아침은 운동과 함께 시작한다. 그의 말에 따르자면 국민학교 때부터 '더도 덜도 아니고 어떤 경기건 학급 대표는 도맡아할 정도'로 좋아했던 운동이어서 그렇기도 하지만 이제는 '살기 위해' 운동을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도시인' 가운데는 억새와 갈대, 난초와 붓꽃 등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고
지적
한다.이처럼 생태계의 모임은 종류만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러나 이들이 생태계를 통해 아마추어 과학의 진미를 느끼는 부분은 자연의 일부를 정확히 아는 것 외에 전국 곳곳을 두루 답사할 수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0세기 최대의 과학기술뉴스로는 원자폭탄의 개발과 나가사키 히로시마 원폭투하 (45년)를
지적
했다. 회의장소가 일본이고 일본인이 앙케이트에 많이 참여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두번째 큰 사건으로는 아폴로 11호의 달착륙(69년)이 선정됐다. 이어서 왓슨과 크릭의 DNA이중나선 ... ...
UFO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분석하고 관심을 심화시켜나가는 사람도 있다. 사실 누구나 한번쯤은 지구인 외의
지적
생명체에 대해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이에 대한 관심은 어찌 보면 인간의 원초적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전위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한국UFO연구협회의 연구부장인 맹성렬(금성사 연구원)씨는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열린 좌담회에서는 해양연구의 어려움과 학교교육에서 해양부분의 부실함 등이 주로
지적
됐다. 육지에 발을 딛는 순간 "먼 항해 끝에 땅의 고마움을 안다"는 뱃사람들의 경구가 문득 떠올랐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