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토론토에서 열린 나노테크놀로지학회에서 발표했다.테라헤르츠는 1
초
에 1조 번 진동하는
초
고주파 대역으로, 만약 반도체를 이런 주파수로 작동하게 만든다면 지금보다 최대 100배 빠른 통신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실리콘 반도체의 전자는 기가헤르츠 이상 진동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 ...
태양, 표면보다 대기가 뜨거운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유니스는 15분 동안 태양의 주위를 돌며 6분 동안 1.3
초
마다 태양의 온도와 태양이 내는 빛의 파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태양이 평소에 내는 빛의 파장과 다른 극자외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자기력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또 이때 태양 코로나의 온도가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밖으로 물러난 부하들을 뒤로 한 채 대장선 홀로 수십 척의 왜적과 맞서 버텼던 전투
초
반 수 시간은 역사속 현실에서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그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았지만, 이순신 장군은 란체스터 법칙을 뒤엎는 또 다른 전술을 마련했던 것이 아닐까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초
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 알고리듬이나 ‘computational thinking’이라고 불리는 내용에
초
점이 맞춰질 것이다. 가령 로봇강아지를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길을 찾아가게 만들 때 어떤 경로로 최단거리를 짤 것인지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입시지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도 이런 창의적인 교육은 꼭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중요했던 분야는 일반상대론의 아인슈타인 방정식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
초
정도까지 물리학자들이 어려운 방정식의 복잡한 해를 찾는 데 집착하면서 일반상대론 연구는 거의 정체 상태에 이르렀었다. 하지만 시공간 구조의 거시적인 성질을 방정식을 풀지 않고 연구하는 방향으로 ... ...
혜성,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유럽의 혜성탐사선 ‘로제타’가 목성 인근을 지나고 있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고 유럽우주기 ... 로제타는 올해
초
31개월에 걸친 긴 잠에서 깨어나 추리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 혜성이 1
초
에 두 컵 분량의 물을 뿜어낸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대학의 다음 교육과정으로 연구중심 대학원인 GIST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
초
학문과 사고력은 대학에서, 전공 공부와 연구는 대학원에서 맡은 것이다.GIST의 리버럴 아츠 교육은 오늘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노경덕 지스트대학 융합학문연구실장의 말처럼 밤낮을 가리지 않고 교수를 찾는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었다. 이곳에서 정말 3일 뒤에 내가 스페이스십2를 타고 우주로 떠날 수 있을까.훈련15
초
무중력 훈련 - 신체검사와 체험훈련3일간 간단한 신체검사와 체험훈련을 받았다. 이소연 우주인이 받았다는 그런 엄격한 훈련은 아니었다. 민간우주여행의 조건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듯했다. 훈련의 ... ...
100m달리기 10
초
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하지만 올해 일본의 고등학생이 10
초
1의 기록을 세웠다. 한국 최고기록은 여기에도 0.1
초
이상 뒤쳐져 있다. 비결은 꾸준한 투자와 과학적 훈련이다. 백 위원장은 “우리나라 선수들은 대학에 진학한 뒤 오히려 기량이 쇠퇴한다”며 “일본처럼 오랜 시간동안 체계적으로 개인별 맞춤 훈련을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