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큰 소용돌이(공기저항)를 줄일 수 있다. 나노구조 외피 덕분에 썰매가 받는 공기저항은
최대
90%까지 줄어든다.썰매의 전조등에도 첨단 기술이 숨어 있다. 전조등에는 레이저 센서가 달려 있어 내비게이션 역할도 한다. 앞으로 다가오는 공기의 온도와 흐름을 측정해 가장 날기 편한 경로로 안내하는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선생님의 부검 결과 석유때문에 죽은 것은 아니었대. 태안 앞바다가 원래 상괭이의
최대
군락지라 평소에도 종종 사체가 발견된다는 사실!조개와 고둥, 게는 석유를 싫어해~!석유 사고가 났을 때 가장 먼저 사라지는 종 가운데 하나는 조개나 고둥, 게와 같이 *간조대에 사는 동물이야.이런 종들은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임의의 가장 큰 수(초한수) 가 있다고 가정할 때, 항상 그 수보다 더 큰 수가 존재하므로
최대
자연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 큰 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했습니다.하지만 수학자들은 ‘과연 어떠한 집합도 가장 큰 수를 원소로 갖는 집합보다 더 많은 원소를 가질 수 없는가?’에 의문을 품고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가 ‘왜 테라포밍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가’이다. 지구의 인구는 인류 탄생 이래
최대
치를 계속 넘어서고 있으며 가용자원은 줄고 있다. 온실효과로 인한 기상이 변을 비롯해 인류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으로 여러 가지 중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를 하는 DB 시스이 도입될 것”이라고 예측했다.세계
최대
검색업체인 ‘구글’은 이미 이런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을 준비하며 파트너를 찾고 있다. 따라서 게놈정보를 분석하는 바이오인포메틱스 분야에서 국내외 업체들 사이의 협력과 경쟁의 복잡한 네트워크가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모세관 자체가 망가질 경우는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최대
치료 횟수는 7번 정도다.이 방법도 한계는 있다. 상처가 심하면 흉터가 생기듯, 사람의 피부처럼 어느 정도는 과잉재생 현상이 일어난다. 망가졌던 곳이 사람의 피부 흉터처럼 우둘투둘 튀어 오르는 것이다.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측 대원도 뽑을 예정이다. 3인의 관측 대원은 1일 3교대로 근무한다.기상1호는
최대
25일 동안 해상에서 체류가 가능하다. 관측을 마친 배는 연안으로 돌아와 연료와 물을 보충한다. 특이하게도 배에서 쓴 물은 버리지 않고 모아 놓는다. 배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의 무게로 배를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끌지도 못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가 IBM에 있던 사실이 또 한 번 빛을 발했다. IBM이 당대
최대
의 컴퓨터 제조업체였으니만큼, 왓슨 연구소는 다른 세계 어느 기관보다 컴퓨터를 사용하기 좋은 환경이었다. 이미 프랙탈의 기초 연구를 할 당시부터 만델브로는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할 때 컴퓨터를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다봤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의 연구팀은 2009년에 “2020년이면 고분자화합물 시장의
최대
90%를 미생물이 만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사공학을 통한 바이오소재와 바이오연료의 생산경쟁은 국제적으로 치열하다. 앞서 말한 듀폰사 외에도 세계적 농업기업 카길과 다국적 화학기업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람직하다. 하지만 모든 생물을 그 자리에 복원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곳에
최대
한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복원하는 ‘서식지 외 보전’이 중요한 대안이다. 식물원이나 동물원, 수목원이 대표적인 예다. 현재 국내에는 20개 기관이 서식지 외 보전기관으로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