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뉴스
"
꼭
"(으)로 총 2,134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외부 기생충은 동물과 사람 사이에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만큼 연구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용 교수는 탄자니아 야생동물에서 채집한 참진드기에서 열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인 리케차와 이형열원충 등의 존재를 확인했다. 신은주 서울여대 연구교수(항생제내성균주은행장)는 ... ...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
과학동아
l
2015.03.04
그 친구가 구독을 끊게 돼 이제 과학동아를 볼 수 없습니다. 저희 학교에 과학동아를
꼭
보내주세요." 송준섭 기자 제공 ● 이끼 낀 실험기구, 50년 된 현미경, 오래된 과학책 초소형 특성화고인 지리산고는 정원(한 학년 20명)의 70%를 형편이 어려워 공부에 집중할 수 없는 학생 위주로 선발한다.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누구랄 것도 없이 고개를 끄덕였어요. 취재 과정에서 알게 된 광물을 자신의 마음에
꼭
새겼지요. 반짝반짝 보석보다 예쁜 광물이 궁금한 친구들은 민자연사연구소를 방문해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세요~. 이지섭 민자연사연구소장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인터뷰 - 이지섭 민자연사연구소장] "모든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20
살기 때문이에요. 마귀상어의 우스꽝스럽게 긴 코는 마귀상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에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로렌치니 기관’이거든요. 최근에는 마귀상어가 이 코로 미세한 전류를 감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있습니다. 햇빛 보기 힘든 곳에서는 자외선이 부족한데, 우리 몸에는 약간의 자외선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몸에서 유일하게 만들어낼 수 있는 비타민 D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없으면 칼슘이 흡수되지 않아 뼈가 물렁해지고 형태가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광고가 크게 유행했습니다. 이 광고를 보고 있자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우유를
꼭
마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미국 역시 상당수의 어른들은 우유를 마시지 못합니다. 북서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온 사람들 중에서는 원래 낙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지역 출신이 많았습니다. 이들이 미국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구현하는 소재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초전도체를 양자컴퓨터용 소재로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초단간극 탄도성 조셉슨접합은 지금까지 이론적으로만 예측됐을 뿐 실제로 구현되지 못했다. 이 물질은 초전도체 사이의 간격을 원자 단위로 미세하게 좁힌 것을 말한다. 초단간극 탄도성 ... ...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
꼭
한번 체크해 봐야!
동아닷컴
l
2015.02.02
[동아닷컴]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가 밝혀져 화제다. 미국의 건강사이트 프리벤션닷컴이 미국 과학공공도서관저널(PLOS One)에 게재된 영국 런던대학의 논문을 토대로 ‘사람들이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에 대해 밝혔다. 1. 덩어리나 혹이 만져 진다. 암 환자 대 ... ...
산에 오르기전 다리 근육-인대 중심 10분이상 풀어줘야 부상 방지
동아일보
l
2015.01.29
손을 보호하고 쉽게 등산 스틱을 쥘 수 있게 돕는 방수 기능성 소재 보온 장갑 등은
꼭
준비해야 한다. 장성=유재영 기자 elegant@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주미 中대사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대화에 활력이 넘친다고. 그렇다면 소셜로봇의 윤리학은 단지 행복의 윤리학일까.
꼭
그런 건 아니다. 미국 MIT의 사회학자 셰리 터클은 소셜로봇과의 관계가 본질적으로 ‘속임수’라는 데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앞서 얘기했듯이 이성적으로는 로봇임을 알아도 관계를 갖다보면 정서적으로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