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뉴스
"
반대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만드는 적응적 기능이 있습니다. 사랑과 질투는 서로 깊은 관련이 있지만 방향은 정
반대
입니다. 상대와의 결속을 돕고 양육에 헌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랑이라면, 질투는 파트너가 한눈을 팔지 못하게 하는 감정입니다. 모두 번식적합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정신적 형질입니다. 따라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사건을 접한 후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지만 흥미롭게도
반대
의 결과가 나타났다.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충격적인 사건을 접한 후 긍정적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거나 ‘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이고 활기찬 사람들이 ... ...
'지열발전이 포항지진 촉발'…CO₂해저저장연구에도 '불똥'
연합뉴스
l
2019.03.22
특히 지진의 악몽을 겪은 포항시민들은 이 지역에서 추진되는 기술 실증을 강력히
반대
하고 있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0년부터 'CCS 기술 실증'을 추진해 왔다. 2013년부터는 공주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으로 연구진을 꾸렸다.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해저에 건설하기 전에 ... ...
김해 장유소각장 다이옥신 측정 과정 논란 속 '공개'
2019.03.22
구역에 대해 7개 지점에서 측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해시는 21일 소각장 증설
반대
주민비대위가 참관을 거부한 가운데 주민협의체 간부와 일부 주민 등에게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의 다이옥신 측정 과정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 ...
美·사우디 방해로 인위적 기후조작 기술 규제 끝내 불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리 없다. 실제로 결의안은 양대 석유 생산국인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반대
에 부딪혀 결국 13일(현지시간) 첫 제안을 주도한 스위스가 결의안을 철회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이와 관련해 영국의 가디언은 18일 "미국과 사우디가 자국 화석 연료 산업에 이익을 주기 위해 결의안을 막았다"고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뒷날개를 퇴화시켜 수많은 방향 감각기를 탑재한 주걱모양의 평균곤을 앞날개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비행 중 균형을 유지한다. 앵앵거리며 귀찮게 하는 파리나 모기를 쫓으려 손사래를 치지만 금방 알아채고 잽싸게 도망가는 놈들을 제압한 경우는 거의 없다. 파리나 모기의 제어장치와 속도를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성공했다. 플라스틱 빗을 머리에 문지르면 정전기가 생긴다. 이는 한 쪽에 양(+)전하가,
반대
쪽에 음(-)전하가 생기는 ‘분극 현상’ 때문이다. 연구팀은 물방울이 나노필라 구조를 갖는 유리 표면 위에서 이동할 때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일어나며, 이 때 생긴 전기를 전극을 이용해 모으는 데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된다. 양이온인 수소 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해 전자를 받고 수소 기체로 탈바꿈한다.
반대
쪽 양극에서는 음이온인 산소 이온이 전자를 내놓고 산소 기체로 바뀐다. 전기분해는 쉬운 방법이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게 문제다. 투입되는 전기에 비해 얻는 수소량이 부족하다. 깨끗한 물 자체가 비싼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말하기에 상황은 너무 급박하다. 인간의 언어가 그렇게 진화했다면, 인간이라는 종은
반대
로 도태되어 화석으로나 남아 있을 것이다. 언플러그드 코딩을 활용한 코딩 교육의 방법론적 한계는 인간의 언어에 많건 적건 의존한다는 것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지침을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생물화학공정을 개발해 생물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미생물로 플라스틱을 만들거나,
반대
로 플라스틱을 미생물로 분해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분야 연구가 최근 유명하다. 지난해 1월 유전자를 개량한 대장균을 이용해 포도당으로 페트(PET)의 원료인 방향족폴리에스테르를 만들었다. 201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