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d라이브러리
"
두개골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12
함께 보여준다. 즉 뇌의 용적은 침팬지와 같지만 얼굴은 현대인처럼 작고 섬세하며
두개골
아래에 놓여있다. 몸 골격의 경우도 엉덩이뼈는 초기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비슷하지만 다리는 현대인처럼 확실히 두발로 걸을 수 있는 구조다.연구자들은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란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12
그러나 불행히도 신경성장인자를 몸 밖에서 주입하면 뇌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한다.
두개골
에 구멍을 내 직접 투여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뇌로 바로 전달되는 작은 분자량의 또다른 신경성장인자도 찾고 있다.최근 미국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는 약물 중독 치료 원칙을 발표했다.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권준수 교수는 “검사 당시 생리 중이거나 주위 온도가 평균치를 밑돌 때, 검사자의
두개골
두께에 따라 얼마든지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현택 교수도 “사건과 상관없는 화려한 사진이나 자극에 반응해 p300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한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죄지식’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09
骨髓腔)이 좁아진다골경화(骨硬化)는 대부분 좌우대칭적이며 척주(脊柱) · 골반 ·
두개골
등에서 잘 발생한다골경화 부분은 X선촬영으로 음영(陰影)이 진하고 조직학적으로는 골해면질(骨海綿質)이나 골수강은 경화하여 충실골조직(充實骨組織)으로 차게 된다 대립형질(對立形質)에 대응하는 한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09
이용하는 데서 이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다발성의 원발성골종양(原發性骨腫瘍)
두개골
· 늑골 · 흉골 · 척추· 골반 등에 잘 나타나고 물렁물렁한 종류(腫瘤)를 형성하며 뼈의 흡수가 일어나고 40~60세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골수종의 종양세포는 형질세포(形質細胞)에서 유래한 것이어서 ... ...
피터팬은 환상이 아니라 실제
과학동아
l
200409
수컷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고백하면서 이런 현상의 원인을 추적해간다.커다란
두개골
속에 뇌가 들어있고, 얼굴 골격에 굴곡이 적고, 치아가 작고 아래턱이 짧으며, 젖을 생산하지 않을 때도 암컷의 유방이 큰 인간의 신체적 특징은 유인원의 태아와 유사하다. 야생동물로 가득한 자연에서 털 없는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08
결손을 일으킨 두부 외상에서는 두개내압 때문에 뇌의 일부가 두개강 밖으로 삐져 나온다
두개골
밖으로 밀려나온 뇌의 실질(實質)은 순환장애로 인해 표층에 괴사가 생겨 반드시 감염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괴사에 빠진 뇌를 뇌용(腦茸)이라고 한다 경동맥(頸動脈)이나 추골동맥(椎骨動脈)으로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06
자기 자신을 송두리째 바칠 각오를 할만큼 애정을 가졌다고 한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개골
을 통해 인류의 기원을 추적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이 책은 고대 예리코의 오아시스에서 잡종밀의 개량이 가져다준 농업혁명과 말의 가축화가 유목경제에 미친 영향, 연금술로부터 시작된 현대과학의 ... ...
뿔 긴 도마뱀이 명도 길다
과학동아
l
200405
채어가 나뭇가지에 걸쳐놓고 뜯어먹는다. 케빈 영은 나뭇가지에 남겨져 있는 뿔도마뱀의
두개골
29개와 살아있는 1백55마리의 뿔 길이를 쟀다. 그 결과 살아있는 뿔도마뱀의 뿔이 평균 10% 정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도마뱀의 뿔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했을 것이라는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05
약 4만년 전에 살았던 사람들입니다. 어떠세요. 친밀감이 느껴집니까?”정 실장은
두개골
을 토대로 재구성한 만달인 얼굴을 가리켰다. 전체적인 인상이 오늘날 우리들과 큰 차이는 없다. 이들 한반도 토착민들은 이후 시베리아에서 이주한 집단과 섞이면서 점차 오늘날 한국인의 정체성을 만들어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