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
리드온니메모리
찰흙
loam
로마
Rome
read-only memory
d라이브러리
"
롬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성합성IC 개발
과학동아
l
198907
시제품생산에 들어갔다.모델용 'KS5915'라고 불리우는 이 제품은 기존의 음성합성IC가
롬
(ROM)만을 내장하여 한정된 정보를 수록한데 비해 1메가D램등 램(RAM)제품과 연결해서 많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한 점이 특징이다.또 RDM(데이터응축)프로세서를 이용해 테입녹음및 재생기능을 IC화하는데 ... ...
행정전산망용 워크스테이션 개발
과학동아
l
198901
워크스테이션이 16×16 마스크
롬
을 사용한데 비해 이번 왕의 워크스테이션은 24×24 EP
롬
을 사용, 글자체가 정교하며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지원한다.이 제품은 왕사의 PC200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15인치의 1040×754 픽셀 고해상도 모니터에, 검은색 바탕에 호박색화면을 제공한다.PC200시리지는 1 ... ...
메모리반도체 세계 3위권 4메가 D램 국내개발
과학동아
l
198803
향상시켜가면서 개발경쟁을 벌이고 있는 분야는 메모리반도체. 이 분야에도 램(RAM)과
롬
(ROM)이 있고 램에는 D(Dynamic)램과 S(Static)램이 있지만, D랩이 가장 시장수요가 많아 개발기술의 수준을 타나타는데 기준이 된다.우리나라가 VLSI(초대규모집적회로)시대로 접어든 것은 지난 83년도 ... ...
소프트웨어의 젊은 황제 윌리엄 게이츠 3세 William H.Gates
과학동아
l
198710
있다. 현재 게이츠는 적은 레이저 디스크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술인 CD
롬
기술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계에서는 이런 시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 보는 사람들이 많다. 그의 경쟁자들중에는 게이츠가 컴퓨터과학의 학위가 없기 때문에 비전이 매우 흐리다거나 ... ...
마이크로프로세서 어떻게 응용되나 장난감에서 고속컴퓨터까지
과학동아
l
198708
여러개의 백터인터럽트 Vector Interrupt)도 가능하다. 특히 많은 외부칩이 필요하며 외부
롬
과 램을 이용한다. 네째로는 많은 터미널을 설치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산업기기의 제어나 산업정보취득시스팀, 특정 데이타의 계산과 처리, 데이타통신을 위한 프로세서로 사용된다. 16비트 ... ...
행정전산망용 표준 한글 한자IM
롬
개발
과학동아
l
198708
3월부터 안양연구소에 전문 개발팀을 구성한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행정전산망용 IM
롬
개발을 계기로 기타 VLSI급 반도체의 내수 시장공급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계획 ... ...
전자출판 대백과사전을 한장의 디스켓에
과학동아
l
198707
출판물이 제작되지않고 있다. 단지 삼성전자에서 제작된 계산기 겸용 영한사전이 CD
롬
형채를 흉내낸 출판물이라고 볼수 있으나 수록된 단어수가 적은 것이 단점이다. 그렇지만 새로운 전자매체를 사용하여 출판물의 제작을 시도한 점은 칭찬을 받아 마땅하며, 국내의 타회사에서도 전자 출판에 ... ...
1메가
롬
IBM에 납품
과학동아
l
198706
한자 문자발생기, 컴퓨터의 OS(컴퓨터의 기본 운영체제) 등에 쓰이는데, 올해 1메가비트
롬
의 세계시장 규모는 1억8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성반도체는 이를 계기로 국산 VLSI급 반도체의 세계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 ...
우선 사용목적을 고려한뒤…
과학동아
l
198703
롬
을 최대한 같에 만들고 가격을 낮추어 IBM과 경쟁하는 것. 다른 하나는 바이오스
롬
을 제외한 다른 규격 즉 우수한 부가장치를 제공하여 IBM과 경쟁하는 것이다. IBM의 대응전략도 이와 비슷하게 전개되었다. 즉 값을 낮추고 성능을 높이는 것인데 1983년 3월 IBM PC XT를 발표하고 1984년 8월 IBM PC AT를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01
지난9월 삼성반도체통신이 2백56KS램을 개발한데 이어 금성반도체가 한자전용 1M
롬
, 패스트2백56KS램 개발에 성공했으니까 명실상부한 메가시대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지요."패스트 2백56KS램은 미국이나 일본에서 개발된 2백56KS램보다 정보처리속도가 빠르고 칩크기가 작아 고부가가치 제품이라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