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01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부대 사령관 ‘꼬치라 부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
기공이 열리게 된다.미션4 씨앗을 날려라~!“이제 마지막 문제다. 식물은 자손을
번식
시키기 위해서 씨앗을 멀리 보내지. 털이나 날개 모양의 구조를 이용해서 말이야. 그래서….”마지막 문제는 씨앗 날리기다. 종이 한 장을 이용해서 헬리콥터처럼 빙빙 도는 비행기를 만들어 보자.꽃이 가득한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07
죽습니다. 마우스가 동물 실험에 유용한 이유에 대해 아마 독자 여러분께서는 대부분
번식
이 빠르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할 거예요. 맞습니다. 우리 쥐는 태어난 뒤 6~8주만 지나면 새끼를 낳을 수 있지요. 한 번에 열 마리 이상 씩 낳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실험 결과도 빠르게 낼 수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7
있다.새장 속의 새에서 사회 속의 인류까지일반적으로 암컷은
번식
에 쓰는 비용이 크고
번식
횟수도 제한된다. 가능하다면 좋은 수컷과 짝짓기를 하는 편이 최적이다. 성도태는 이런 암컷의 선호가 수컷에 대한 진화적 선택압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공작새로 대표되는 수컷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 ...
참새 VS 붉은머리오목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
참새는 딱정벌레, 메뚜기, 나비와 같은 곤충과 벼, 씨앗 같은 식물을 먹고 살아요.
번식
기인 따뜻한 봄에는 암수가 짝지어 생활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무리를 지어 다닌답니다. 나무 또는 사람이 사는 집 처마에 둥지를 틀고 살아요. + 박새몸길이 약 15㎝인 박새는 검정색 머리에 흰 뺨을 가지고 ... ...
들꽃이 전하는 봄 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보존하기 위해 애쓰고 있어요. 전국의 산과 들에서 들꽃 씨를 모으로 우수한 품종을 골라
번식
시키지요. 친구들도 귀엽고 예쁜 들꽃이 사라지지 않도록 소중하게 아껴주세요. 길가를 지니가다가 들꽃을 만나면 절대 꺾거나 밟지 말고 김춘수 시인이 노래한 시 '꽃'에서처럼 이름을 ... ...
우주에서 고래 감시하는 인공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희귀한 고래종이 어디에 사는지 관찰하기도 쉽지요. 특히 저희 서던라이트고래는 최근
번식
지에서 잇따라 죽음을 맞이해 브리티시어틀랜틱서베이 과학자들이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답니다. 연구팀은 아르헨티나에 있는 골포 뉴보 지역을 인공위성으로 촬영해 저희를 55마리나 발견했어요.흠,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06
뜻을 가졌다. 종자에 붙은 ‘엘라이오솜’이 개미를 유혹하여 개미를 통해 종자가
번식
된다.2. 산마늘 : 지리산, 설악산 및 울릉도 숲이나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5~7월에 백색 또는 황색 꽃을 피운다.3. 개똥쑥 : 잎을 잘라 문지르면 개똥처럼 독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4. 천문동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만약 바나나와 귤에 씨앗이 있었다면 과연 어땠을까?수박씨를 집 마당에 심어볼까?씨로
번식
한다는 수박! 수박 먹고 남은 씨들을 버리지 않고 마당에 심으면 공짜로 수박을 먹을 수 있지 않을까?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원래 수박 품종은 훨씬 작고 씨가 많아서 맛있게 먹기 어렵다. 사람들은 수박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
과학동아
l
201406
넓은 초원에 점점이 흩어져 있던 양의 움직임이 부산해진다. 양치기 개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양치기 개는 여기 저기 뛰어다니며 요령 좋게 양 ... 보더콜리가 돌아다니면서 갈매기를 쫓아내기 때문”이라며 “여름철에 해변에 세균이
번식
하는 것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06
‘플로스원’에는 신세계원숭이를 26년 간 장기 관찰한 결과 3원색 구분 능력은 생존이나
번식
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논문이 게재됐습니다.이런 논쟁만 봐도 알겠지만, 수천만 년 동안 진화한 역사를 현재의 단편적 증거들로부터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특히 원숭이처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