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d라이브러리
"
병원체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가 남긴 숙제들
과학동아
l
198912
疫学)적 임상적 병리학적으로 정의되기에 이르렀고, 원인이 밝혀졌다. 특히 1984년에는
병원체
가 동정되었고 최초의 치료제인 AZT가 그 효능을 타진했다.이 작업들을 가능케 한 주역은 최근 놀랄만큼 발전한 면역학과 분자생물학이었다. 만약 AIDS가 60년대에 유행했다면 70년대에도 그 원인조차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04
나이지리아의 벽지 라사에서 1969년에 최초로 보고된 건기에 간헐적으로 유행하는 열병.
병원체
는 RNA 바이러스로 들쥐가 매개한다. 일본에서는 법정전염병에 준하여 다룬다)이 상륙하였다하여 초비상이 걸린 이후 지금 대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아프리카 열병 라사열이 상륙한 일본의 경우88년 3월2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04
관계되는 에피소드같은 경험담 하나를 소개한다. 학자들은 보통 자기가 발견한 병이나
병원체
이름에 자기 이름이나 조국의 이름을 넣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예를 들면 일본뇌염 볼리비아출혈열 가와사키병 등이 있다.그러나 정치가나 외교관들의 해석은 다른 것 같다. 1981년 나는 일본 정부 ...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
과학동아
l
198812
병원성 미생물을 투여했을 경우에도 일어나지만 일견 외형상 정상적인 동물이 위험한
병원체
를 가지고 있을 경우도 생물재해는 발생할 수 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동물이 무증상이기 때문에 실험자는 별로 주의하지 않고 있을 경우가 많으므로 생각하지도 못한 대형사고가 무방비의 실험자에게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11
수 있는 가상의 위험에 대해 깨어있어야 뜻밖의 화를 면할 수 있다는 말이다.기존의
병원체
에 의한 위험은 물론,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가상의 생물적 위험을 재제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규제지침과 함께 교육적인 훈련이 효과적일 것이다. 즉 실험자가 이러한 위험을 인식하도록 ... ...
AIDS가 성큼 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살핀다
과학동아
l
198806
떠나서 사는 외항선원과 사우디 취업자들이었다.HIV는 인플루엔자보다 한수 위1983년 AIDS
병원체
가 분리된 이래, 세계의 과학자들은 백신개발에 많은 노력을 쌓아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AIDS에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약제나 백신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까다롭기로 소문난 감기의 인플루엔자(Influenza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12
병원체
를 등줄쥐에서 발견했다고 10월 발표했다. 이로써 세계적으로 출혈열을 일으키는
병원체
는 모두 5종으로 알려졌으며 이중에 3종류가 우리나라에만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 한방의료보험 실시77년 7월부터 사회보장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의료보험은 양방에 대해서만 실시돼 오다가 87년 ... ...
기초과학 위에 뿌리내린 첨단과학
과학동아
l
198711
'에콜 노르말'에서 연구를 계속, 탄저병(炭疽病) 패혈병(敗血病) 산욕열(産褥熱) 등의
병원체
를 밝혀냈다. 79년에는 닭콜레라의 독력(毒力)을 약화한 배양균을 닭에 주사하고 면역이 된다는 것을 발견, '제너' 이래 과제로 남았던 왁찐 접종에 의한 전염병 에방법의 일반화에 성공 하였다.그의 최대의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11
이른바 성지순례라 할까요. 현재까지 다녀간 사람이 1백명이 넘습니다.우리가 처음
병원체
를 분리하는데 성공한 것은 집단 발병지역에 뚜렷하고 그당시 새로 개발된 검사법인 형광항체법의 적용, 혈액속의 항체변화, 다른 사람들은 조사하지 않은 폐조직검사 등을 했다는데 있읍니다. 더구나 같이 ... ...
PART Ⅳ 바이러스 「현대의 페스트」부른 원시
병원체
과학동아
l
198709
배양도 되지 않았다.그후 1차대전중 프랑스의 세균학자 데렐이 세균에 기생하는
병원체
가 있음을 입증하고 이를 '박테리오파지'라 이름붙인 것을 계기로, 일부 바이러스의 성질이 밝혀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모습이 드러난 것은 전자현미경이 발견된 1930년대 이후의 일이었다.X선결정학 ... ...
이전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