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늘모양의것
박편
scale
d라이브러리
"
비늘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01
육각복과의 육각복이 있다.몸이 긴 달걀형이고 몸표면은 아주 매끄러운 것과 바늘같은
비늘
이 있는 것이 있다. 입은 작고 아래 위 두턱에 각 2개의 대문이 모양의 턱이가 있고 좌우로 있는 2개의 중앙봉합선에서 서로 닿아 전체로서 주둥이 모양을 이루고 있다.가슴지느러미는 짧고 작은 아가미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11
비교적 같은 모양의 모피로 덮여 있으나 어떤 종은 천산갑(穿山甲·pangolin)처럼 딱딱한
비늘
로 덮여 있다.먹이를 잡는 방법이나 식성도 종에 따라 다른데 대단히 독특하다.번식력은 그렇게 강하지 않아 1회에 한마리만 낳는다. 그러나 임신한 암컷은 연중내내 볼수 있다. 임신기간은 일부의 종을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07
보면 왕오색나비는 수컷의 경우 날개표면의 안쪽 반부는 남색이고 뒷면에는 푸른색의
비늘
이 발달되어 있다. 홍점알락나비는 뒷날개의 제1방에서 5방까지 각 1개씩의 주홍색 무늬가 있으며 그중 5방의 것이 가장 작게 보인다.이들의 생태과정을 보면 왕오색나비는 연간 발생횟수가 1회인데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
과학동아
l
198805
사이에 자주 발생한다. 발가락 사이가 갈라지고, 바닥이 적색으로 헐게되며 주위에
비늘
같은 인설이 나타나며 악취가 난다. 각화형은 만성형으로 발바닥 전체가 두껍게 되며 딱딱한 인설이 일어나 건조되어 약간 헐게 된다. 때로는 발등에까지 번질 수 있으나 가려운 증세는 없는 것이 보통이다 ... ...
환상의 세계
과학동아
l
198708
것이다. 현대적인 용의 존재는 영화세계에도 나타난다. 머리털이 길고 끈적끈적하고
비늘
이 있는 파충류나 도마뱀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것들은 공룡처럼 정글에 살고 있으며, 킹콩과 싸움을 하거나 세상에 나타난다. 그리고는 폭탄, 로케트 화염들과 싸우게 된다. 구약성서의「유니콘」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08
않는다. 먹이주위를 몇바퀴 빙빙 돌기도하고, 먹이를 코로 쿡쿡 찌르기도 한다. 그 후
비늘
을 이용하여 스쳐 먹이로부터 피가 나게 한다. 상어는 일단 공격이 시작되면 멈출 줄을 모르고 더욱 더 난폭해진다. 상대방이 죽든지 자기가 죽기까지 공격을 계속한다. 청새리상어의 일격으로 돌고래의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08
있다.
비늘
이 등지느러미 밑자리 부분에만 있고 그밖에는
비늘
이 전혀 없는 가죽잉어, 큰
비늘
이 등 옆줄부분 복부 등에 산재해 있는 거울잉어 등이 있으며 또한 이스라엘에서 개량된 이스라엘잉어도 독일잉어와 비슷하다. 이들 개량품종은 체고가 높고 성장이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05
띠가 있고 회백색의 나비가루(鱗粉)가 이어져 있는가 하면 수컷은 빌로도와 같은
비늘
털(鱗毛)이 유난히 사람의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나비과만 해도 17종이 발표되어 있지만 이러한 나비들은 넓은 환경속을 자유자재로 날아다니며 생활하는 것이 아니다. 흔히 눈에 뜨이는 흰나비과의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05
小凹地, hollow)라고 한다. 즉 고층습원에서는 소철지 이탄과 소요지 이탄이 물고기의
비늘
모양으로 중복되어 소철지→소요지→소철지의 주기가 반복되면서 발달하는데 이 주기를 특히 재생주기라고 부른다. 이와같이 물이끼가 습원위에 수많은 소철지와 소요지를 형성하면서 생장을 계속하여 ...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
과학동아
l
198704
관계되는 분야의 전문학자들의 공동연구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또 거꾸로 이 나비의
비늘
들을 연구함으로써 수십만년 전의 지구와 우리 주변의 환경을 더욱 확실히 해석해보는 단서도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아뭏든 일부분이긴 하나 수십만년전에 한반도의 숲속을 날아다녔던 나비의 모습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