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야기거리"(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06
- 16세기 말, 이탈리아의 사제 조르다노 브루노는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도는 행성이며, 태양이 아닌 다른 별도 태양처럼 행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는 종교에서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주장하던 시기였다. 브루노는 종교재판에 회부돼 7년간 옥살이를 한 뒤, 1600년 화형을 당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06
- 우주가 시끄럽다. 정확히 우주의 탄생을 둘러싼 논쟁이 시끄럽다. 3월 미국 바이셉2 연구팀이 우주배경복사에서 중력파를 찾았다고 발표한 것이 대표적이다. 우주의 탄생에 대해 논란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우주에 관심이 많고,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는 의미다. 처음 태어난 이 후 약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따뜻한 바람이 불고 단단했던 흙이 부드러워지면서 누군가 나를 깨웠어. 으하암~, 잘 잤다! 찌뿌둥한 몸을 쫘악 펴는 순간 떠올랐어. 그런데 여긴 어디? 나는 누구? 으아~, 궁금해!나는 누구일까작고, 까맣고, 예쁘지도 않고…. 나는 누구일까? 알고보니 난 씨앗이래.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06
- 천문학자들은 신화 속의 이름을 좋아한다. 태양계에서 발견된 행성과 위성에도 신화 속 이름이 많다. 태양에서 5번째로 먼,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목성)의 이름은 주피터(그리스 이름 제우스)다. 7번째 행성은 하늘의 신(천왕) 우라누스고, 8번째로 행성은 바다의 신(해왕) 넵튠(그리스 이름 포세이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05
- 잠 속의 내가 진짜 나인가, 깬 상태의 내가 진짜 나인가. 장자의 질문과 묘하게 닮은 이 물음에 답을 내릴 사람이 있을까. 잠은 왜 잘까. 꿈은 왜 꿀까. 꿈을 간직하는 대가로 우리는 잠을 잃어버리고 있진 않을까. 잠은 그저 휴식일까. 인생을 접수한 지배자는 아닐까. 이런 말을 중얼거리고 있는 나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5
- 친구들, 안녕? 갑작스러운 편지에 많이 놀랐지?내 이름은 미사키, 2011년 3월 초까지 후쿠시마현의 작은 마을에 살았어.이 지명이 귀에 익은 친구들도 있을 거야.그래, 일본 동북 대지진 후 이제는 돌아갈 수 없는 땅이 된 곳이지.2011년 3월 11일, 대지진이 발생한 뒤 후쿠시마 제1원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05
- 2012년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에 이어 2년 만에 더 강력해진 거미 인간이 돌이왔다! 거미 인간 생활에 완벽하게 적응한 피터 파커는 뉴욕 시내를 활발하게 누비게 된다. 그런데 때마침 등장한 전기 인간 일렉트로가 뉴욕에 대정전을 일으키며 시민들을 공황에 빠뜨린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스 ... ...
- 바다에 살던 연어가 고향 강 찾아오는 비결은 ‘GPS’?어린이과학동아 l201405
- 으핫핫! 지구 정복을 꿈꾸는 세계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예요. 저는 여러분도 잘 알고 있듯이 얼마 전부터 동식물 중에서 지구를 정복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부하를 찾고 있어요. 오늘도 엄청난 능력을 가진 동물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남아프리카에서 캐나다 밴쿠버까지 한달음에 달려왔지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05
- 이등변삼각형의 형태로 아름답게 빛나는 다리의 주인공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위치한 러스키교다. 이 다리는 전체 길이 3100m, 두 탑간의 거리가 1104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사장교로도 잘 알려졌다. 그런데 사진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삼각형, 수직, 각도 등 다양한 도형의 개념을 쉽게 확인할 수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05
- 저는 남동생 때문에 고민인 여대생이에요. 제 동생은 하루 종일 게임만 하거든요. 평일 10시간, 주말 20시간씩 하는 건 기본이에요. 심지어 아이템을 사기 위해 아르바이트도 합니다. 전교 1등 하던 동생은 더 이상 공부가 자기 길이 아니라며, 앞으로 게임 개발자가 될 것이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 것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