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산 장수 '오날도 비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7
다른 나쁜 짓을 하고 있을 거야.”아니나 다를까. 악당 업새블라는 수은온도계를 발명한
천문학자
셀시우스의 연구를 방해하고있었다. 셀시우스는 천진난만한 얼굴로 썰렁홈즈에게 물었다.“물이 어는 온도를 0℃, 끓는 온도를 100℃라고 하고 그 사이를 100으로 나눴어요. 그런데 악당 업새블라가 ... ...
Part 2. 나만의 지구를 설계한다면? '지구설계사무소'
과학동아
l
201207
어서 오세요. ‘지구설계사무소’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그런데 처음 오셨군요.저희가 샘플로 멋진 지구를 한 채 설계해 드리지요. 물론 설계비는 무료입니다.나중에 진짜로 지구를 지을 마음이 생겼을 때 저희 사무소를 찾아주시는 걸로 충분해요.단, 예약은 꼭 미리 주세요. 저희는 외계생명체들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07
언제부터 발견됐을까? 일부학자들은 1396년에 최초로 일어난 금성일식을 아즈텍의
천문학자
들이 관측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 후 비로소 1639년에 제레미 호록과 윌리엄 크랩트리가 최초로 금성 일식을 관측했다. 제레미 호록은 금성 일식이 8년을 주기로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중략…)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07
한 분야에서 프로로 20년 이상을 지내다 보면 여러 사람에게 다양한 인상을 남기게 된다. 비슷한 연구를 하는 사람들끼리는 잊을만 하면 한 번씩 국제학회에서 다시 만나게 되고 지금까지 좋은 친구로 지내고 있는 학자도 여럿 있다. 대표적인 사람이 일본 국립천문대의 태디 코다마 박사이다. 태디 ... ...
[시사] 상부상조를 위한 수학, 보험
수학동아
l
201207
수 있게 됐다. 이를 근거로 생명보험을 만드는 것이다.생명표는 핼리혜성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몬드 핼리가 1693년에 처음으로 만들었다. 핼리는 수년동안 공동묘지를 다니며, 묘비에 새겨진 사망자들의 기록을 수집해 인간생명에 관한 통계를 완성했다. 이 통계를 이용해 수학자 제임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라플라스의 악마에게 그 답을 묻고 싶다.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749-1827) - 프랑스의
천문학자
겸 수학자. 그가 1827년 완성한 ‘천체역학’은 뉴턴의 ‘프린키피아’와 맞먹는 명저다. 수학에서는 그가 남긴 ‘라플라스 변환’과 ‘라플라스 방정식’이 유명하다.]‘맥스웰의 악마’는 꽤나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06
그의 책에서 “거대질량 블랙홀은 레버가 1939년 이미 발견한 것이었다”며 “그러나
천문학자
들이 블랙홀이라고 결론을 내릴 때까지는 40년이 걸렸다”고 쓰고 있다.중간질량 블랙홀 연구도 활발2000년대 들어 중심에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은하가 계속 발견됨에 따라 이제 거대질량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06
결합이 느슨해져 거의 점성이 없는 묽은 수프나 기체처럼 변하게 하는 온도다. 이는
천문학자
들이 대폭발(빅뱅) 시기와 같다고 보는 상태다. 이 실험을 ‘미니빅뱅’이라 부르는 이유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기네스 기록도 우주 최고의 온도로 빅뱅을 꼽고 있다는 점이다. 인류가 직접 경험하지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06
우리가 배우는 수학은 서양 수학의 오랜 전통에 따른 것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에서부터 시작된 수학이 전세계로 퍼졌다. 하지만 아시아에서도 유럽 수학과 별개로 고유의 전통을 가진 수학이 발전했다. 중국은 2500여 년 전부터 십진법을 사용했으며, 인도는 기원전 5000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끈이론과 관련한 부분을 따로 파트로 묶었기 때문에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1888년에 펴낸 책 ‘대기권 : 일반기상학’에 실린 목판화. 15~16세기에 만들어진 작자미상의 작품이다. 중세의 선교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하늘의 끝으로 나가고 있다. 오늘날 우주의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