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개
계방
열기
d라이브러리
"
개방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수돗물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쓸 예정이다.미래에는 석유 전쟁이 아닌 물 전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2008년 물시장
개방
을 앞두고 외국 기업들이 우리나라의 수자원에 잔뜩 눈독을 들이고 있는 이때, 수돗물이 신뢰를 회복하는 일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정수장에서 가정의 수도꼭지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투명해질수록 믿음은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및 트루발삼 등에 함유되어 있다속도형 마이크로폰 리본형 진동판의 양면이 외기로
개방
되어 음에 의한 공기입자의 이동속도, 즉 음압(音壓)의 차이에 비례하여 진동판이 진동하는 형의 마이크로폰이다컨베이어의 하나 양 끝에 장치된 벨트 풀리 사이에 이음매가 없고 넓적한 환상(環狀)의 벨트를 ... ...
당신 얼굴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관상학’을 쓴 라바터는 ‘굽은 눈썹=무기력한 어린시절’ ‘넓은 미간=따스하고
개방
적인 성격’ 이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이들의 얘기를 믿어도 될까. 과학으로 관상 보는 법이 여기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당신 얼굴의 진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 ...
떴다! 웹 2.0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새로운 철학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다. 웹 2.0의 핵심 개념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참여와
개방
, 공유로 정리할 수 있다. 웹 1.0 시대에는 많은 정보를 보여주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이는 일이 관건이었지만 이제는 사람들이 직접 정보를 만들고 서로 나누고 즐기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일이 관건이 됐다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돌발적인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핸들에서 손을 놓았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회로가
개방
되어 비상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된 안전장치로서 전기식과 기계식이 있다BC 460~370경 그리스의 철학자, 고대원자론의 완성자 사물의 성질에는 우리의 감각과는 무관하게 사물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중량, 굳기 ... ...
기획2. 커넥티드(Connected)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개인 삶의 편린이자 우리 모두의 모습이다. 구글은 스스로를 잠식한다 (Google Will Eat Itself)
개방
성과 자유, 나눔의 미학을 갖는 네트워크도 거대자본의 지배와 정보조작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UBERMORGEN.COM의 넷아트 작품 ‘구글은 스스로를 잠식한다’(Google Will Eat Itself)는 인터넷 판을 점령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예를 들어 서울 동숭동에 있는 대학로 문화공간은 1층을 건물 앞뒤 길을 연결하는 통로로
개방
해 소통을 강조했다. 또 샘터 파랑새 극장의 1층을 사람들이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비싼 1층을 대중에게 선사한 셈이다.승대표는 ‘빈자의 미학’을 설파하는 건축가로도 유명하다. 여기서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약칭 FRP)이라고 한다무척추동물(無脊椎動物)의 특이한 혈관계(血管系)
개방
순환계라고도 하며 폐쇄혈관계(閉銷血管系)에 대응하는 계이다 일종의 주기함수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는 함수 식물의 꽃눈에 작용해서 꽃눈의 분화를 유도(誘導)하는 물질 화성(花成) 호르몬 또는 플로리겐(florigen)이라고도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획력, 과학기술에 근거한 자기 관리에 있음을 우리는 확실히 깨달아야 한다. 전면
개방
시대에 우리의 선택은 가장 귀중한 자산인 우수한 인재를 제대로 키워내고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 수용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1. ... ...
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농업과학기술은 눈에 띄게 발전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농민은 줄고 시장
개방
의 목소리는 높아간다. 우리는 무엇으로 승부해야 할까. 혹시 신토불이라는 색안경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건 아닐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