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골격"(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니다. 1980년대 초, 탈라토수쿠스류인 메트리오린쿠스의 뱃속에서 익룡 람포린쿠스의 골격 잔해가 발견됐다. 제 아무리 하늘을 날아다니는 익룡이라도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탈라토수쿠스류로부터 무사하지 못했던 것 같다.공룡의 그늘 밑에서바다로 되돌아가 해양생물들에게 공포를 안겨다준 ...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흰뺨기러기(Branta leucopsis)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2500km에 달하는 이주 비행을 앞두고 골격근과 심근이 비대해지는 것이 관찰됐다.정작 과학자들이 놀란 점은, 이런 극한의 운동을 앞두고 하는 준비 운동의 강도가 너무 약하다는 사실이었다. 줄기러기는 비행 몇 달 전부터 땅 위에서 걷거나 ...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여러 학자가 ‘새의 기원은 공룡’이라고 주장했어요. 새와 육식공룡에게서 비슷한 골격이 공통적으로 발견되기도 했지만 결정적인 근거가 없었답니다. 새는 대부분 날 수 있고, 날개에 모두 깃털을 갖고 있지만 몸에 깃털이 난 공룡은 한 마리도 없었거든요.깃털공룡을 발견하다1996년, 고생물학 ... ...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모방한 재난 구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결과, 바퀴벌레는 자기 몸무게보다 900배 무거운 중량을 이고도 끄떡없이 버텼다. 외골격이 유연성 좋은 판으로 이뤄져 있고 판과 판 사이사이에 탄성력 있는 막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구조를 활용해 크램이 75mm인 몸높이를 절반 수준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풀 교수는 “지진 구조 ...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빠져 죽었다(익사)는 뜻이다.플랑크톤 중에서도 주 검출대상은 규조류다. 규조류는 외부골격이 이산화규소(콘크리트의 주성분)로 이뤄져 있어 강산에도 비교적 잘 견딘다. 그래서 현재는 수중시체의 장기에 든 이물질을 강산으로 녹인 뒤 규조류가 남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쓴다. 하지만 규조류라고 ...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전 펠릿을 해체해 나온 뼈들을 다시 하나하나 맞춰 봤어요. 여기 전시된 소형 포유류 골격 표본이 바로 펠릿 속에서 나온 거예요.”한쪽에는 머리깃부터 날개깃, 배깃, 등깃, 꼬리깃 등 제비의 깃털이 빼곡하게 꽂혀 있는 전시물도 있었어요. 제비가 죽어 있다는 신고 전화를 받고 출동해 수거한 뒤, ... ...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관찰했어요. 이때 실험 참가자들은 다리에 외골격 로봇을 붙이고 있어야 했지요. 외골격 로봇은 다리를 쉽게 굽히지 못하도록 하는 등 실험 참가자들의 걸음을 방해하는 역할을 해요. 그럼 코와 입 부분에 연결된 기계가 실험 참가자들이 걷는 동안 쓰는 에너지량을 분석하지요.실험 결과 사람들은 ...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바다나 호수에서 플랑크톤이 죽은 뒤 변해서 석유가 만들어졌다는 거지요. 플랑크톤의 골격을 이루는 단백질이나 셀룰로오스는 비교적 물에서 분해가 잘 되기 때문에 사라지고, 물에 녹지 않는 유지(기름)만이 남아 열과 압력을 받아 석유가 됐다는 거예요.실제로 석유가 발견되는 근처에서는 동물 ...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지질학회의 회원도 될 수 없었다.1828년 12월, 애닝은 쥐라기 해안에서 작은 익룡의 골격화석을 발견했다. 머리뼈와 척추가 거의 보존되지 않은 매우 불완전한 화석이었다. 하지만 영국의 과학계는 떠들썩했다. 애닝의 발견 이전에는 익룡 화석이 독일에서만 발견됐기 때문이다. 독일이 아닌 다른 ...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단단하게 만들거나, 세로로 서 있는 기둥 사이에 대각선으로 한 번 더 기둥을 덧대는 등 골격 구조를 튼튼하게 만드는 거지요. 이렇게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규모가 7이나 되는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고 버틴답니다. 그리고 작은 건물은 큰 건물에 비해 건물 전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같은 충격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