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법
테크닉
기술
기량
작풍
연주법
솜씨
d라이브러리
"
기법
"(으)로 총 1,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수 있다. 증폭에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 사용된다. 생물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
기법
은 열에 강한 고온세균의 DNA 중합효소인 ‘Taq’를 이용해 DNA를 복제하는 기술이다. PCR이 발명되면서 적은 양의 DNA도 분석할 수 있게 됐다.PCR을 이용해 증폭하는 DNA는 일반적으로 짧은직렬반복(STR · Short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실패하면 장애물에 걸리기 일쑤다.연구팀은 이 상태에서 자체 개발한 레이턴시 보정
기법
을 적용했다. 그러자 같은 위치에 있던 장애물의 크기가 줄어들었고, 마치 레이턴시가 없는 조건에서 게임을 한 것처럼 장애물을 쉽게 넘어갔다. 이 교수는 “그동안 레이턴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게임은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발견했다.또 서멘자 교수는 단백질이 DNA 분자에 결합하는 부위를 찾아내는 DNA 풋프린팅
기법
으로 저산소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DNA 부위에 특정 단백질이 붙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그리고 후속 실험을 통해 마침내 산소농도가 감소할 때 DNA 부위에 결합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찾아냈다. 그는 이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기어오르며 직접 설비를 점검했다. 이후 원전에서 수행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
기법
을 가스공사의 설비에 도입해 사고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고, 사고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었다. 2006년부터는 전공인 자원개발 분야에서 성과를 냈다. 한 예로 2012년~2018년 인도네시아와 호주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얻기 위해 형광 표지 물질을 처리한다. 문 교수는 “현재 이
기법
으로 암세포의 식별 정확도를 93%까지 끌어 올렸다”며 “향후 실제 환자들의 암세포 데이터를 축적해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학습시키면 실제 암 진단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의사이면서 전염병학자인 앤더슨 맥켄드릭이 1927년에 홍역 전파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한
기법
이죠. 어떤 범위 안에 있는 인구를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S)과 감염된 사람(I), 그리고 회복된 사람(R)의 집단으로 구분해 초기 조건과 상황에 따라 각 집단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수학적으로 예측하는 ... ...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엘니뇨 상황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냈다. 최대 1년 후를 내다 보는 데 그쳤던 기존 예측
기법
보다 성능이 50%가량 향상됐다.엘니뇨가 중부 태평양과 동부 태평양 중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했고, 엘니뇨에 앞서 해수면의 온도가 어떻게 변할지도 알아냈다. doi: 10.1038/s41586-019-1559-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여러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하는 KVN만의 독창적인 관측
기법
은 향후 국제 전파천문 관측
기법
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년 네 번째 전파망원경 구축KVN은 구축 후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세계적인 전파관측망으로 발돋움했다. KVN을 사용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붕괴측정법은 방사성동위원소의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기법
입니다.하지만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의 민감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동위원소가 붕괴하는 시점에 방사선을 측정하기 때문에, 오래된 시료는 시간당 붕괴하는 횟수가 적어 측정 정확도가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를 진행해 1964년 마침내 투구게 혈액에서 추출한 물질로 LAL
기법
을 완성했다. LAL
기법
은 45분 이내에 미세한 양의 독소도 검출할 수 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데이비드 새처 미국 마운틴시나이대 의대 교수는 1965년 개구리의 피부를 이용해 콜레라 환자의 장 활동을 실험하는 실험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